사회
HOME
>
NEWS
>
사회
>
해외
오스트리아 당국 "빈 총격 테러범은 IS 가담 전과 있는 20세 청년"
오스트리아 당국은 빈 도심 총격 테러 사건 중 사살된 용의자는 IS에 가담하려 했던 20세 청년이라고 밝혔다. 2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 시내 유대교 회당 인근에서 총격이 발생
2020.11.04 10:27
'코로나 안정' 뉴욕주, 여행자 2주 의무 격리 폐지
미국 뉴욕주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실시해왔던 '2주 격리' 규정을 완화하기로 했다. 사진은 앤드루 쿠오모 뉴욕주지사. /AP.뉴시스방문 전후
2020.11.01 10:47
오바마 "김정은, 트럼프 재선 바란다…뭐든 다 주기 때문"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27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을 바라는 건 원하는 바를 얻을 수 있어서라고 비판했다. /오바마 대통령 페이스북"바이든은
2020.10.28 09:50
카메론 학교서 총기 난사로 어린이 8명 사망…10명↑ 부상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서아프리카 카메룬 사우스웨스트 쿰바시의 한 학교에 괴한이 침입해 무차별로 총기를 난사해 어린이 8명이 사망하고 1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 /로이터 통신
2020.10.25 12:08
미국 코로나19 하루 확진자, 8만1210명 사상 최다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는 23일(현지시간) 미국이 이날 하루 8만 1210명의 코로나19 확진자수를 기록하며 사상 최다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 12일(현지시간) 미 플
2020.10.24 15:20
WHO, '효능 논란' 램데시비르 사용 지침 3~4주 내 발표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23일(현지 시간) 세계보건기구(WHO)는 효능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코로나19 치료제 렘데시비르에 대한 사용 지침을 3~4주 내로 밝힐 전망이다. /이동률
2020.10.24 11:05
국가별 코로나19 확진자, 미국이 866만1651명 최다
전 세계적으로는 23일(미국 현지시간) 하루 동안 신규 확진자 47만7751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는 4196만7206명이다. 사진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애리조나주 투손 국
2020.10.24 09:02
아제르바이젠·아르메니아 휴전 재합의…3주 만에 교전 끝낸다
지난 3주간 교전을 벌인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가 18일(현지시간)부터 휴전하기로 합의했다.사진은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 마르투니 마을에서 주민들이 모병소에서 받은 AK-47
2020.10.18 10:28
美 하루 신규 코로나 확진자 6만9천명…7월 말 이후 최대
미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가 6만9000명대로 올라서면서 7월 말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AP.뉴시스10개 주에서 최다 신규 환자 기록…'
2020.10.18 09:32
프랑스 교사 참수 용의자, 체첸 출신 18세 남성
지난 16일 프랑스 파리 근교에서 발생한 중학교 교사 참수 사건의 용의자는 체첸공화국 출신 18세 남성으로 확인됐다. /뉴시스용의자 친인척 4명 포함해 9명 추가 체포[더팩트|문수
2020.10.17 20:52
마이니치 "日 정부, 후쿠시마 오염수 바다 방류 방침 굳혀"
일본이 후쿠시마 오염수의 바다 방류 방침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월12일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 원전 신축 수조 상단에서 작업자 1명이 일하고 있다. /AP·뉴시스엄재
2020.10.16 12:07
코로나19 경험 멜라니아 "두려움은 현실이 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가 회복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아내 멜라니아 여사는 "여러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며 며칠간 롤러코스터를 타는 듯했다
2020.10.16 10:31
푸틴의 '31살 연하 애인' 알리나 카바예바, 종적 감춘 이유는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숨겨진 애인 알리나 카바예바가 쌍둥이 출산 후 모습을 감췄다는 보도가 나왔다. /AP.뉴시스'푸틴 그녀' 알리나 카바예바, 지난해 쌍둥이 출산[더팩트│성강현
2020.10.09 14:47
노벨문학상, 美 시인 루이즈 글릭
스웨덴 한림원은 8일(현지시간) 미국 시인 루이즈 글릭(Louise Gluck, 77)을 올해의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한림원은 글릭에 대래 "선명성을 위한 투쟁을 특징으
2020.10.08 20:46
'일제강점기 강제노역 현장' 군함도 건물 붕괴 위기
군함도 내 철근콘크리트 건물이 침식으로 붕괴가 예상되는 상태인 것으로 3일 알려졌다. 국가기록원이 공개한 일제 강점기 군함도 모습. /국가기록원 제공"안전성 문제로 출입 어려워 수
2020.10.03 16:40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