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송다영 기자] 내란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비상계엄 선포 직후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홍철호 전 정무수석이 통화한 사실을 확인했다.
박지영 특검보는 12일 오후 브리핑에서 '추 전 원내대표와 홍 전 수석 통화 관련 보도가 사실인지'를 묻자 "오보는 아닌 것 같다"고 밝혔다.
경향신문은 이날 두 사람이 계엄선포 직후인 지난해 12월 3일 오후 11시쯤 통화한 내역을 특검팀이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추 전 원내대표는 홍 전 수석과 통화 이후 오후 11시 12분께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약 7분 이상 통화했고, 11시 22분께에는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특검팀은 홍 전 수석과 한 전 총리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추 전 원내대표에게 국민의힘 당 차원에서 계엄 해제 의결을 막아달라고 요청했을 가능성을 의심한다.
계엄 선포 직후 추 전 원내대표는 비상 의원총회 소집 장소를 국회로 공지했다가 여의도 당사로 변경했다. 이후 소집 장소를 다시 국회로 공지했다가 여의도 당사로 또 한 번 변경했다.
추 전 원내대표는 계엄을 사전에 알지 못했고 윤 전 대통령과 표결 방해를 논의하지도 않았다고 주장한다.
특검팀은 지난 11일 조경태·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을 잇달아 출석시켜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했다. 이들은 특검팀에 12월 3일부터 4일까지 계엄 해제 표결이 진행될 당시 국회와 국민의힘 내부 상황을 상세히 진술했다. 조 의원은 계엄 해제 표결에 참석했고, 김 의원은 계엄 해제 표결에는 참여하지 않았으나 7일 윤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 때는 찬성표를 던졌다.
김 의원은 특검팀에 작년 12월 3일 자정 무렵 곽규택 의원이 '국민의힘 의원들은 본회의장으로 와달라', '의원총회를 본회의장에서 한다'는 문자를 보낸 반면, 비슷한 시각 원내대표실 공지용 번호로 '당사로 모이라'는 문자를 발송됐다는 진술과 메시지 내역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국민의힘 의원 전원이 참여한 텔레그램 단체 대화방에서 지난해 10월 말부터 12월 중순까지 두 달 간의 대화 기록이 모두 삭제된 사실도 파악해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