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송다영·선은양 기자] 내란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12·3 비상계엄 당시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윤석열 전 대통령뿐 아니라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도 7분가량 통화한 사실을 파악했다.
박지영 특검보는 11일 오후 브리핑에서 추 전 원내대표와 한 전 총리가 지난해 12월3일 계엄 선포 직후 7분가량 통화한 내역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두 사람의 통화 사실이 드러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 등 다른 의원들과 한 전 총리의 통화 내역에 대해서는 "한참 수사를 진행 중이고 내용을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선을 그었다.
추 전 원내대표와 한 전 총리의 통화는 앞서 특검팀에서 조사를 받은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을 통해 알려졌다.
조 의원은 이날 오전 8시부터 5시간가량 계엄 해제 국회 의결 방해 의혹을 놓고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았다.
오후 2시쯤 조사를 마치고 나온 조 의원은 "한 가지 특이한 것은 12월 3일 밤 11시 12분에 추경호 전 원내대표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7분 이상 통화했던 게 나왔다"라며 "한 전 총리가 당시 국무위원이 반대했다고 했는데 윤 전 대통령이 계엄을 강행했다는 이야기를 추경호 전 원내대표와 통화(에서)했던 게 나와 있다"고 말했다.
또 조 의원은 "(당시 우원식)국회의장은 본회의장으로 모이라고 했는데 본회의장이 아닌 당사로 모이라고 집중적으로 문자를 보내고 그런 행위를 유도한 의원들, 그리고 추 전 원내대표는 침묵하고 있었던 점 등이 상당히 중점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도 덧붙였다.
이에 특검팀은 당시 국민의힘 지도부 등 야당 의원들을 상대로 전방위 수사를 펼칠 것으로 보인다.
박 특검보는 "딱히 누구를 집어내기보다 당시 국회 상황을 알 수 있던 분들은 모두 조사 대상이라 볼 수 있다"라며 "현재는 사실관계를 파악하는 단계이고 구체적으로 (출석 명단이) 정해진 단계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특검팀은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도 이날 오후 2시부터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 중이다. 김 의원은 "12월 3일 상황에 대해 아는 대로 소상히 말씀드리겠다"라고 밝혔다.
내란특검은 이날 박종준 전 경호처장도 다시 불러 조사했다. 박 전 처장은 지난 1월 윤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하고 비화폰 서버 기록 삭제에 관여한 혐의를 받는다.
이날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도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했다. 특검팀은 노 전 사령관이 특정 중요 시점마다 통화한 인물이 있는 것을 특정하고 '제3자 내란방조 혐의' 조사를 진행 중이다. 박 특검보는 "제3자가 특정된 건 맞지만 구체적 신분과 관여 정도에 대해 현 단계에서 확인이 어렵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