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 | 송다영·김해인 기자] 내란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구속에 이어 12.3 비상계엄 선포 전 국무회의에 참석한 국무위원들을 상대로 수사 범위를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박지영 특검보는 1일 오후 브리핑에서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 국무위원들의 조사 일정을 묻자 "압수수색 수집 자료와 그 과정에서 필요한 조사를 하고 있다"며 "조사 경과 등을 고려해 소환이 이뤄질 것 같다"고 밝혔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달 2일 한 전 총리를 특검 사무실이 위치한 서울고검으로 불러 약 14시간 동안 조사했다. 지난달 24일에는 한 전 총리의 주거지와 국무총리 공관을 압수수색한 특검팀은 한 전 총리 측과 포렌식 일정을 조율 중이다.
또 특검팀은 이 전 장관 구속으로 언론사 단전·단수 의혹 수사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박 특검보는 이날 오전 0시 40분께 구속된 이 전 장관을 두고 "피의 사실을 인정할 상당한 이유가 있고 증거인멸 염려가 있다는 게 발부 사유"라며 "이 전 장관 추가 조사는 변호인과 협의 등을 통해서 추후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 특검보는 "이날 당장 이 전 장관의 조사가 이뤄지는 것 같지는 않다"며 "(특검)조사를 하려면 변호인 배석 하에 이뤄져야 해서 추후 결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 전 장관의 구속기간 연장 여부를 두고는 "현 단계에서 말씀드릴 게 아니다"며 "구속기간 10일 안에 조사가 되면 기간 안에 기소하면 좋고, 추가 조사 사항이나 확인할 사항이 더 많다면 연장할 수도 있다"고 했다.
특검팀은 지난달 30일 김상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불러 비상계엄 해제 국회 의결 방해 의혹 참고인 조사를 진행했다.
다만 박 특검보는 참고인 조사 확인 여부에 관해 "안철수 의원 (참고인 조사 요청 때)에서 느꼈겠지만 정치적 민감성이 너무 높다"라며 "참고인 조사는 순전히 임의조사라서 참고인 의사에 달려 있다. 민감성을 감안할 수밖에 없어 누구를 언제 조사할 계획인지 말씀드리긴 어렵다"고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