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정채영 기자] 선거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이유로 검찰 조사에 응하지 않았던 김건희 여사가 대선 이후에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특검 조사를 염두에 두고 검찰 무시 전략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 대통령은 지난 9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3특검법'(내란·김건희·해병대원 특검법)을 심의·의결했다. 특검법에 따라 각 사건의 특별검사, 특별검사보, 파견 검사 등이 정해지면 7월 중순께 공천개입 의혹, 건진법사 의혹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까지 김 여사를 둘러싼 특검 수사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김 여사는 이재명 대통령이 특검법을 재가한 날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수사팀에 의견서를 제출했다. 김 여사 측은 자신의 범죄 혐의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대면조사를 꺼리면서 의견서로 갈음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지난달 수사팀의 첫 출석 요구에 조기 대선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불출석 의사를 밝힌 것과는 모순된다.
김 여사는 특검이 발빠르게 현실화되자 검찰 조사를 받을 이유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어차피 특검 조사가 불가피한데 이중 조사를 받을 필요가 있느냐는 취지다.
수사팀은 계속 김 여사와 출석 일정을 조율을 시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출석에 불응하면 체포영장 등 강제수단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았다. 통상 피의자가 2~3차례 출석 요청에 불응하면 수사기관은 강제 수사로 나아간다.
검찰이 특검 출범이 임박하면서 추가로 수사를 진행하기보다는 특검에 넘길 수사기록 정리에 주력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김 여사 외 다른 사건 관계자들도 검찰 출석을 차일피일 미루는 등 버티기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명태균 의혹 수사팀 외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을 수사하는 서울고검 형사부와 건진법사 의혹을 수사하는 서울남부지검도 같은 이유로 김 여사 대면조사에 적극적으로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특검 수사가 시작돼도 김 여사를 부르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통상 일정 수준의 기초 수사 뒤 막판에 핵심 피의자를 부르게 된다.
김건희 여사와 마찬가지로 윤석열 전 대통령도 일체 조사를 받지 않을 분위기다. 윤 전 대통령 측은 경호처 체포영장 집행 방해 사건을 수사하는 경찰의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을 것이며 서면조사나 방문조사는 고려하겠다는 내용의 의견서를 제출했다. 검찰은 아직 윤 전 대통령의 출석 조사는 추진하지 않고 있다.
chaezero@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