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김영봉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하고 있는 경찰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에 이어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불러 조사하고 있다. 계엄 당일 국무회의에 참석했던 국무위원의 조사가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특수단)은 26일 낮 12시 내란 혐의를 받는 최 전 부총리를 불러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수단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도 이날 오전 10시부터 불러 조사하고 있다.
최 전 부총리는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 선포를 앞두고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했다. 최 전 부총리는 회의에서 윤 전 대통령 측으로부터 비상입법기구 쪽지를 받았다. 쪽지에는 비상계엄 후 국회를 대체할 비상입법기구 관련 예산을 편성하라는 내용이 담겼다.
특수단은 최근 대통령경호처로부터 대통령 집무실과 복도, 대접견실 등 폐쇄회로(CC)TV를 확보했다. 특수단은 지난해 12월3일 오후 6시부터 다음날인 4일까지 CCTV 영상을 분석한 결과 한 전 총리와 이 전 장관의 출석 조사 당시 진술과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최 전 부총리의 출석 조사 당시 진술과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국무회의에 참석한 이들은 한 전 총리와 최 전 부총리, 이 전 장관, 조태열 외교부 장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김영호 통일부 장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박성재 법무부 장관 등이다.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은 국무위원은 아니지만 당시 국무회의에 배석했다.
특수단은 지난해 12월 한 전 총리와 이 전 장관, 최 전 부총리를 포함한 11명 중 김용현 전 장관을 제외하고 모두 조사했다. 최 전 부총리는 지난 조사에서 "단순히 (국무)회의실에서 대기하다 나왔다. 회의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정상적인 회의 분위기가 아니며 그 자리가 국무회의라면 심각한 절차적 하자가 있는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수단은 "추가 증거를 확보해 참고인 조사를 진행했다"며 "한 전 총리와 이 전 장관, 최 전 부총리가 그간 국무회의 관련해 국회에서 진술한 내용, 언론에 보도된 내용 등과 달라 조사 중"이라고 설명했다.
kyb@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