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비화폰 서버 복원 속도…"분석 마치면 윤석열 조사"
  • 김영봉 기자
  • 입력: 2025.05.12 14:38 / 수정: 2025.05.12 14:38
디지털 포렌식 작업으로 기록 복원 중
12·3 비상계엄을 수사하고 있는 경찰이 대통령경호처와 윤석열 전 대통령 등의 내란 혐의를 입증할 핵심 증거로 꼽히는 비화폰(보안처리된 전화기) 서버에 대한 복원 작업에 착수했다. 사진은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 우두머리 혐의 등으로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12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3차 공판에서 오전 공판을 마치고 법원을 나서고 있는 모습./사진공동취재단
12·3 비상계엄을 수사하고 있는 경찰이 대통령경호처와 윤석열 전 대통령 등의 내란 혐의를 입증할 핵심 증거로 꼽히는 비화폰(보안처리된 전화기) 서버에 대한 복원 작업에 착수했다. 사진은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 우두머리 혐의 등으로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12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3차 공판에서 오전 공판을 마치고 법원을 나서고 있는 모습./사진공동취재단

[더팩트ㅣ김영봉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하고 있는 경찰이 대통령경호처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화폰(보안처리된 전화기) 서버 복원을 위한 디지털 포렌식 작업을 벌이고 있다. 경찰은 포렌식 작업을 마친 뒤 윤 전 대통령을 불러 조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특수단)은 12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경호처와 임의제출 협의를 계속 진행 중"이라며 "포렌식 작업을 통해 서버 기록이 어느 정도 복원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수단은 "아직 임의제출이 완료되지 않아 명확하게 어느 정도 제출받았다고 말씀드리기 어렵다"며 "대통령 집무실 폐쇄회로(CC)TV도 일단 열람을 통해 제출받을 범위를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논쟁 소지를 없애기 위해 절차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협의해서 진행 중"이라며 "(피의자) 직접 참관이 필요한지는 변호사와 논의를 통해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특수단은 포렌식 작업을 마친 뒤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를 받는 윤 전 대통령과 김성훈 경호처 차장 조사도 실시할 계획이다. 특수단 관계자는 "아직 임의제출이 완료되지 않았다"며 "제출이 완료되고 분석 등 확인 작업도 필요하기 때문에 이후에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특수단)은 16일 오전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의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와 관련해 비화폰(보안처리된 전화기) 서버, 대통령실, 경호처 사무실, 경호처장 공관 등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 집행에 나섰다. 사진은 이날 대통령실 앞 모습./송호영 기자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특수단)은 16일 오전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의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와 관련해 비화폰(보안처리된 전화기) 서버, 대통령실, 경호처 사무실, 경호처장 공관 등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 집행에 나섰다. 사진은 이날 대통령실 앞 모습./송호영 기자

윤 전 대통령과 김 차장은 지난 1월3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특수단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체포영장 및 관저 수색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를 받는다. 김 차장은 경호처 내 부당한 인사 조치, 비화폰 관련 기록 삭제 지시 혐의도 받고 있다.

김 차장은 최근 사의를 밝힌 뒤 대기 명령 상태다. 현재는 안경호 기획관리실장이 경호처장 직무대리를 맡고 있다.

특수단은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현재까지 당정 관계자 29명과 경찰 62명, 군 관계자 20명 등 총 111명을 입건해 수사하고 있다. 이중 윤 전 대통령 등 6명을 검찰에 송치하고 20명은 공수처 등에 이첩했다. 나머지 85명은 수사 중이다.

특수단은 계엄 당시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이 '언론사 단전·단수'를 지시했다는 의혹을 두고는 휴대전화 등 압수물 분석을 마치고 지난달 18일 이 전 장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특수단 관계자는 이 전 장관 구속영장 신청 여부를 두고는 "지금 얘기할 사안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kyb@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