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김영봉 기자] 경찰청은 2025년도 자치경찰 연구개발사업 2차 과제로 동국대학교가 주관하는 '인공지능(AI) 활용 실종아동 수색 및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사업 지원 플랫폼'과 전주대학교가 주관하는 '순찰 로봇 및 영상 센서 활용한 안전관리체계 구축사업'을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
경찰청은 지난 2022년부터 2027년까지 국비 107억원을 들여 지역별 연구기관, 자치경찰위원회, 시·도 경찰청 등과 협력해 지역 특성에 따른 치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치경찰 연구개발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차 과제로 선정된 AI 활용 실종아동 수색 등 지원 사업은 AI 분석 기술을 활용해 서울의 학교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동의 이상행동을 미리 감지해 범죄를 예방하고, 실종아동 발생 시 폐쇄회로(CC)TV 등에 촬영된 흔적을 신속 탐지해 아동을 조기 발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서울 시내 공간 정보, 범죄 발생 통계 등을 통합 분석해 범죄를 예측하는 모델도 개발한다.
순찰 로봇 등 구축 사업은 전북 지역 치안 문제 해결을 위해 야간 적외선 감지, AI 기술 활용한 이상행동 탐지 등 기능을 자율순찰 로봇에 적용해 운영하는 것이다. 공중화장실 내 불법촬영을 예방하기 위한 감지시스템도 개발한다.
앞서 1차 사업은 지난 2023년 대구 테크노파크가 대구 자치경찰위 등과 협력한 '여성, 어린이 안심귀가를 위한 AI 데이터 범죄 취약지구 디지털 순찰서비스'와 제주테크노파크가 제주 자치경찰위 등과 협력한 '교통사고·혼잡 예측 및 확산 방지를 위한 현장 데이터 기반의 교통현장 관리지원 기술 개발'이 선정돼 연구가 진행 중이다.
자치경찰 연구개발사업은 연구개발이 종료되는 2027년 현장에서 제대로 적용되는지 실증 결과 후 치안현장에 배치될 예정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지역의 치안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과학치안 기술 개발로 자치경찰의 범죄예방 및 대응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kyb@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