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우마 사망' 경찰관 급증…3명 중 1명은 순직 불인정
  • 이윤경 기자
  • 입력: 2025.04.29 13:58 / 수정: 2025.04.29 13:58
경찰직협 "순직 불승인 사유 파악, 개선해야"
전국경찰직장협의회(경찰직협)는 29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공무상 사망 경찰관 순직 인정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남윤호 기자
전국경찰직장협의회(경찰직협)는 29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공무상 사망 경찰관 순직 인정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남윤호 기자

[더팩트ㅣ이윤경 기자] 전국경찰직장협의회(경찰직협)가 공무상 사망한 경찰관들 순직 인정을 촉구했다.

경찰직협은 29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3년간 순직 처리된 인원은 32명, 불승인 인원은 11명"이라며 "불승인 확률은 34.37%로, 3명 중 1명은 순직을 거부당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죽어서조차 순직을 거부당하는 경찰에게 국가가 목숨을 걸고 일하라며 말할 자격이 있냐"며 "앞으로 정부와 경찰청의 '제복 경찰관에 대한 예우' 따위의 입에 발린 소리를 강력히 거부한다"고 지적했다.

경찰직협은 "경찰은 타 공무원 대비 순직은 2배, 공상은 3.4배 높다"며 "최근 5년간 도주 차량에 치이거나, 칼에 맞고 폭행당하거나 질병으로 입원한 경찰은 7086명"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런 일들이 트라우마로 쌓여 최근 경찰의 우울증 진료는 70%가 증가했고 외상 후 스트레스 치료 건수는 50% 늘었다"며 "치안의 심각한 위험성 때문에 순직이 많고 트라우마가 크기 때문에 자살률이 높은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경찰청은 경찰복지법에 따라 경찰 순직 원인이 되는 피습·자살·암·뇌혈관 질환 등을 연구해 대책을 마련하고 순직 불승인 사유를 파악해 개선하라"며 "정부는 경찰 순직을 유족에게 소송으로 떠넘기지 말고 직접 개입해 순직 처리를 지원하라"고 요구했다.

bsom1@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