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휴대전화 포렌식을 진행하려고 했으나 임 전 사단장의 녹음 요구로 절차가 중단됐다.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에 대한 외압 의혹 수사관련 포렌식 참관을 위해 23일 경기 과천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출석하기에 앞서 취재진 앞에서 입장을 밝히고 있다./뉴시스
[더팩트ㅣ정채영 기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휴대전화 포렌식을 진행하려고 했으나 임 전 사단장의 녹음 요구로 절차가 중단됐다.
공수처 수사3부(이대환 부장검사)는 23일 오전부터 임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 포렌식을 진행했으나 성과 없이 끝났다.
임 전 사단장은 "공수처 담당 수사관에게 참여 과정에서 제가 한 의견을 기록하기 위해 휴대폰으로 녹음하게 해줄 것을 요청했다"며 "공수처는 녹음을 허락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검토하지 않았다. 검토가 마무리된 후 포렌식을 진행하겠다고 하면서 오늘은 진행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압수수색 영장 취지에 맞춰 필요한 증거를 수집할 경우 제가 참여 과정을 녹음한다고 해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며 "어렵게 재개된 수사 절차가 검토를 거쳐 바로 재개되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오전 9시25분께 정부과천청사 내 공수처에 도착한 임 전 사단장은 '구명 로비 의혹이 실체가 없다고 생각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전혀 실체가 없다"며 "수사가 진행되고 나면 최초에 의혹을 제기한 박균택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법적 책임을 감당해야 한다"고 답했다.
임 전 사단장은 아직도 자신의 휴대전화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그는 "압수수색 당시 변호인이 (휴대전화에)비밀번호를 넣으라고 했고, 경황없이 넣다 보니 기억을 못 한다"고 설명했다.
이 의혹은 지난 2023년 경상북도 예천군 수해 현장에서 실종자를 수색하던 중 숨진 채 상병 순직 사건의 수사 결과를 이첩하는 과정에 윗선의 외압이 있었다는 내용에서 시작됐다.
이후 해병대 출신들이 속해 있는 '멋진해병'이라는 단체 대화방의 참가자인 김규현 변호사가 공개한 녹취록이 공개되면서 구명 로비 의혹까지 번졌다.
chaezero@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