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정채영 기자] 검찰이 김건희 여사가 연루된 공천개입 의혹 관련자들을 연달아 불러 조사하면서 김 여사의 출석 가능성도 가시화되고 있다. 수사를 마무리하려면 김 여사의 출석이 불가피해 조사가 언제 이뤄질지 관심이 쏠린다.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지난 18일 김상민 전 부장검사를 불러 조사했다. 검찰은 김 여사가 김 전 검사가 공천을 받도록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했다고 의심한다.
수사팀은 최근 명 씨와 관련된 오세훈 서울시장과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대선주자 수사에 집중하는 듯했다. 그러나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전 대통령 부부를 향한 수사가 앞설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현직 시장이나 대선 경선 후보보다 수사에 부담이 덜하다는 취지다.
최근 명 씨 측은 지난해 2월16일부터 19일 사이 김 여사와 주고받은 텔레그램 통화록 복기록을 공개했다. 복기록에 따르면 김 여사는 명 씨에게 "김상민 검사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수사 때 정말 고생 많이 했다"며 "김상민이 의창구 국회의원 되게 도와주세요. 김영선 의원은 어차피 '컷오프'라면서요"라고 말했다.
명 씨와 김 전 의원은 지난 9일 보석 신청이 받아들여지면서 구속 5개월 만에 풀려났다. 명 씨가 석방된 다음 날인 10일과 11일 수사팀은 창원지검으로 내려가 명 씨의 피의자 조사를 연달아 진행했다. 11일 조사를 마치고 나온 명 씨는 "재판을 받고 있는데 어떤 이야기를 하는 것은 예의가 아닌 것 같다"며 "다음에 입장이 정리되면 말씀을 올리겠다"며 말을 아꼈다.
김 여사 조사 전망을 놓고도 "5개월 동안 갇혀 모든 게 차단돼 있었다"며 "파악이 안 돼서 알려드릴 수가 없다"고 말했다. 다만 며칠 후 명 씨는 "내 앞에 놓인 어떤 먹잇감을 먼저 물고 뜯어야 그들이 열광하고 환호할까"라며 폭로를 예고하는 글을 올렸다. 이에 명 씨가 새로운 증거를 공개할 가능성도 있다.
김 여사는 여론조사기관 미래한국연구소의 실질적 운영자로 의심되는 명 씨가 지난 대선을 앞두고 81차례에 걸쳐 3억7500만원 상당의 여론조사를 실시해 윤 전 대통령에게 제공하고 대가로 김영선 전 의원의 공천을 받아내는 데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지난 총선 당시 김 전 의원에게 김 전 검사의 당선을 도와주면 장관이나 공기업 사장 자리를 주겠다고 회유한 의혹도 있다. 당시 김 전 검사는 공천에서 떨어졌다. 김 전 의원도 경남 김해갑으로 지역구를 옮겨 출마했으나 공천에서 탈락했다.
검찰은 명 씨가 사용한 휴대전화 등에서 윤 전 대통령 부부와 명 씨가 나눈 카카오톡 대화와 주고받은 여론조사 관련 파일들, 통화 녹음파일 등 혐의를 입증할 증거들을 상당수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지난 2월 김 여사 측에 명 씨 의혹 수사를 위해 검찰청사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김 여사 측은 정식으로 일정을 조율하는 단계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chaezero@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