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정채영 기자] 검찰 특별수사부서들이 경제 범죄에 수사 강도를 높이고 있다. 정치권 수사에 주력했던 특수부가 '경제'로 눈을 돌리면서 검찰 내부 분위기가 바뀌는 모습이다. 심우정 검찰총장의 방침이기도 하지만 조기대선 국면에서 정치권을 의식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1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부는 최근 기업과 금융증권 범죄를 대상으로 한 수사에 눈에 띄게 속도를 내고 있다.
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최재훈 부장검사)는 지난16일 신한자산신탁 전현직 직원이 대출 알선을 대가로 억대 금품을 수수한 사건과 관련해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반부패수사1부(이준동 부장검사)도 금융감독원의 의뢰로 시작한 IBK기업은행의 불법 대출 의혹 관련 일부 지역 센터를 압수수색했다.
반부패수사3부(이승학 부장검사)도 증권사를 상대로 한 수사에 부쩍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수사 끝에 지난 15일 사금융 알선 혐의를 받는 전 LS증권(구 이베스트투자증권) 본부장을 구속했다. 지난달에는 전직 LS증권 임원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금 유용을 방조한 혐의 등을 적발해 재판에 넘기기도 했다.
검찰의 경제범죄 수사는 심우정 검찰총장 취임 이후 부쩍 눈에 띈다. 심 총장은 지난해 취임 당시 "검찰의 직접 수사 역량을 국가의 근간을 흔드는 중대한 부패범죄, 경제범죄에 집중시키겠다"며 "검찰의 집중 수사 역량은 시장경제질서를 무너뜨리는 경제범죄에 투입돼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한때 이재명 대표의 대장동 의혹을 비롯해 더불어민주당 돈봉투 사건 등 정치권 수사에 집중했던 반부패수사부도 심 총장 취임 이후 기업 수사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이같은 수사 기조 변화는 심 총장의 방침에서 비롯됐다는 해석이 많다. 다만 검찰이 대선을 앞두고 몸을 낮추고 있다는 시선도 있다. 기존 반부패수사부가 하던 금융 범죄에 비해서는 금액 규모나 사건의 폭발성도 크지 않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여야 대선 주자들의 검찰을 향한 시선도 곱지않은 상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와 홍준표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는 '검찰개혁'을 대선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 후보는 "수사와 기소는 분리해 수사 담당 기관과 공소유지 담당 기관을 분리해 수사기관끼리 견제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후보 또한 검찰의 1차 수사권 폐지 등 기소와 수사를 분리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공약을 제시했다.
수도권의 한 부장검사는 "반부패수사부가 인원에 비해 사회적인 관심도가 낮은 사건들 위주로 일을 하고는 있다는 걸 보면 일종의 보여주기식 수사"라며 "정치적 수사를 하던 검찰을 향한 비판적 시선을 의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chaezero@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