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호처 이광우, 계엄 전 챗GPT에 '계엄·국회 해산' 검색…"포렌식 오류"
  • 김영봉 기자
  • 입력: 2025.03.19 14:54 / 수정: 2025.03.19 14:54
경찰 특수단 구속영장 신청서에 적시
"계엄 선포 이후 검색" 이광우 측 반박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이광우 대통령경호처 경호본부장이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 선포 2시간 전 계엄과 국회 해산 등의 단어를 인공지능(AI) 서비스 챗GPT에 검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본부장 측은 검색한 시간은 계엄선포 이후라고 반박했다. 사진은 이 경호본부장이 지난 1월18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 조사에 출석하고 있는 모습.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이광우 대통령경호처 경호본부장이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 선포 2시간 전 '계엄'과 '국회 해산' 등의 단어를 인공지능(AI) 서비스 챗GPT에 검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본부장 측은 검색한 시간은 계엄선포 이후라고 반박했다. 사진은 이 경호본부장이 지난 1월18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 조사에 출석하고 있는 모습. /뉴시스

[더팩트ㅣ김영봉 기자]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이광우 대통령경호처 경호본부장이 비상계엄 선포 2시간 전 '계엄'과 '국회 해산' 등 단어를 인공지능(AI) 서비스 챗GPT에 검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본부장 측은 디지털포렌식 복원 과정에서의 오류라며 계엄 선포 이후 검색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19일 경찰 등에 따르면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특수단)의 이 본부장 휴대전화 포렌식 과정에서 지난해 12월3일 오후 8시20분께 챗GPT에 '계엄 선포', '국회 해산' 등을 검색한 기록이 발견됐다.

특수단은 이 본부장의 구속영장 신청서에도 이 같은 내용을 적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수단은 "이 본부장이 챗GPT에 계엄, 국회 해산 등을 검색한 것은 맞다"고 전했다.

이에 이 본부장 변호인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포렌식 과정에서 인터넷 검색, 텔레그램, 카카오톡 등과 같은 SNS 사용 등에 있어 시간의 오차가 있는 경우가 발견됐다"며 "수사관 역시 포렌식 복원 과정에서 사용시간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고 말한 바 있다"고 했다.

이어 "이 본부장은 포렌식 과정에서 해당 내용을 검색한 시간은 비상계엄이 발동된 이후라고 진술했다"며 "TV를 보고 비상계엄 발표를 알게 됐다"고 주장했다.

앞서 특수단은 지난 17일 특수공무집행방해와 형법상 직권남용, 대통령경호법상 직권남용 등 혐의로 김성훈 경호처 차장과 이 본부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재신청했다. 서울서부지검은 전날 김 차장 등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김 차장 등은 지난 1월3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특수단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윤 대통령 체포영장 및 관저 수색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를 받는다. 이들은 당시 "대통령경호법상 경호구역을 이유로 수색을 불허한다"며 영장 집행을 막았다.

김 차장 등은 경호처 내 부당한 인사 조치, 비화폰 관련 기록 삭제 지시 혐의도 받고 있다.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은 야권에서 경호처 내 '김건희 여사 라인'으로 지목한 인물들이다.

이들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은 오는 21일 오전 10시30분 서울서부지법에서 열린다.

kyb@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