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조채원 기자] 치매 환자 수가 내년에는 100만 명을 넘어설 것이란 추산이 나왔다. 치매환자 가족 10명 중 4명은 돌봄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12일 '2023년 치매역학·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역학조사는 치매 유병률과 치매 관련 위험요인 분석, 실태조사는 치매 환자·가족의 돌봄 부담 수준 및 치매에 따른 사회적 비용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역학조사는 그간 2008년·2012년·2016년 총 3차례, 실태조사는 2008년, 2011년 총 2차례 실시됐다.
2023년 65세 이상 고령자의 치매 유병률(65세 이상 인구 중 치매 환자 수 비율)은 9.25%로 2016년 조사 때 나온 9.50%보다 0.25%포인트(p) 줄었다. 2020년부터 1차 베이비붐(1955~1963년) 세대가 노년기에 대거 진입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2023년 65세 이상 인구 수는 2016년 대비 약 268만명 가량 증가했고, 전체 인구 중 65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6년 13.3%에서 2023년 18.5%로 늘었다.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은 2016년 22.25%에서 2023년 28.42%로 6.17%p 증가했다. 기억력과 언어능력 등이 현저히 떨어지지만 일상생활 수행 능력이 남아있어 치매가 아닌 상태를 말한다. 경도인지장애 유병률 증가 요인으로는 치매와 경도인지장애 진단 기준이 세분화되면서 조기진단이 가능해지고 치매 조기 검진 활성화로 치매로 악화 전 진단이 이뤄진 점 등이 꼽힌다. 노인 세대들의 건강 수준과 치매 사전 예방관리 수준이 높아지면서 치매로 진행이 늦춰진 영향이라는 해석도 있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치매 환자 수와 경도인지장애 진단자 수는 지속 증가하는 추세다. 치매 환자 수가 2025년에는 97만759명, 100만 명을 넘는 시점은 2026년, 200만 명을 넘는 시점은 2044년으로 추정됐다. 경도인지장애 진단자 수는 2025년 298만 명(경도인지장애 유병률 28.12%), 2033년은 400만 명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외에도 치매 유병률은 고령일수록, 남성보다는 여성, 도시보다 농어촌, 가족 동거가구보다 독거가구, 낮은 교육수준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환자 가구 형태는 절반 이상(52.6%)이 1인가구, 부부가구 27.1%, 자녀동거가구 19.8% 순이었다. 중증도가 높은 가구에서는 자녀동거 가구 비율(75.0%)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치매 환자는 전체 노인에 비해 건강·기능상태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환자 1인당 평균 만성질환 개수는 지역사회 치매 환자는 5.1개, 시설·병원 치매 환자는 4.2개로 전체 노인 평균 2.2개 보다 많았다. 우울한 정도도 역시 지역사회 치매 환자 5.8점, 시설·병원 치매환자 7.1점으로 전체 노인 3.1점의 2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었다.
지역사회 환자 가족 중 45.8%는 돌봄에 대한 부담(매우 부담 12.9%, 부담 32.9%)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비동거 가족의 경우 주당 평균 돌봄 시간은 18시간, 외부 서비스(장기요양서비스, 치매안심센터, 유급간병인 등) 이용 시간은 주당 평균 10시간이었다.
돌봄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물었을 때 지역사회와 시설·병원 치매 환자 가족 모두 경제적 부담(지역사회 38.3%, 시설·병원 41.3%)을 가장 많이 호소했다.치매 관리 비용은 지역사회는 1733만9480원, 시설·병원은 3138만1940원으로 집계됐다. 세부 내역을 보면병원 입원비·병원 진료비·약제비와 같은 보건의료비보다 장기 요양비·간병비·병원 이용 교통비·보조용품 구입비 등 돌봄비의 부담이 높았다.
치매 환자 돌봄으로 인하여 타 가족원(동거, 비동거 포함)과 갈등 경험률은 지역사회 환자 가족 11.7%, 시설·병원 환자 가족 15.8%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주요 갈등 사유는 돌봄에 따른 비용 부담과 집중된 돌봄 부담에 집중돼 있었다.
복지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된 치매 환자의 특성과 치매 환자·가족의 정책 체감도, 치매 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 등을 토대로 제5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26~2030년)을 수립할 예정이다. 복지부는 "인구 고령화로 치매 환자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선제적으로 치매를 예방하고 환자와 가족들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