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정채영 기자] 공천 개입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지난해 제22대 총선을 앞두고 김건희 여사와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이 여러 차례 연락한 사실을 확인했다.
20일 뉴스타파가 공개한 지난해 11월10일자 창원지검 수사보고서에 다르면 김 여사는 지난해 2월18일부터 3월1일까지 김 전 의원과 총 11회 통화 및 문자를 주고받았다.
이 중 4번의 전화는 김 여사가 김 전 의원에게 걸었고 7번의 문자는 김 전 의원이 김 여사에게 보냈다.
같은 해 명태균 씨가 김 전 의원의 공천을 위해 김 여사에게 텔레그램 메시지를 보낸 사실도 드러났다.
명 씨는 김 여사에게 "여사님 말씀대로 김해갑 경선도 참여하겠다고 기사를 내지만 경선 룰에 당원 50%, 시민 50%인데 김해에는 당원을 한 명도 가입시키지 못해서 김 의원이 이길 방법이 없다"며 "여사님이 이 부분을 해결해달라"고 요청했다. 김 여사는 이에 "단수를 주면 나 역시 좋음. 기본 전략은 경선이 돼야 한다"고 답했다.
검찰은 지난해 2월 18일 오후 3시 30분쯤 명 씨가 김 여사에게 해당 내용을 텔레그램으로 설명한 뒤 같은 날 오후 5시 2분쯤 김 여사가 두 번에 걸쳐 총 11분가량 김 전 의원에게 전화를 건 것으로 보고 있다.
그날 밤 김 전 의원 측은 현역 지역구인 창원 의창 출마를 포기하고 김해 갑에 출마하기로 했다는 보도자료를 언론에 배포했다.
검찰은 명 씨가 김 전 의원의 창원 의창 선거구 공천 컷오프가 예상되자 급하게 김해 갑 선거구로 옮기고 김 여사를 통해 공천에 개입하려 한 것으로 의심한다. 김 여사는 이틀 뒤인 2월20일에도 김 전 의원에게 전화해 13분 2초간 통화했다.
지난 17일 창원지검은 공천 관련 불법정치자금 수수 중간수사 결과를 발표하고 공천개입 사건을 서울중앙지검으로 이송했다.
chaezero@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