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윤경 기자]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 이탈 이후 의정 갈등이 약 1년간 지속되면서 환자의 안전사고가 증가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18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와 시민건강연구소가 지난해 12월 전공의 수련병원 3곳에서 근무하는 병원 노동자 84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태조사 결과, 환자 안전사고 증가 여부를 묻는 질문에 '동의'라는 응답은 32.4%를 차지했다. 이어 '보통(45.1%)', 부동의(22.4%)'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대상에는 간호사, 보건직, 환경유지직 등이 포함됐다.
환자에게 위해를 끼칠 수 있었지만 사고 발생 전 발견돼 직접 의료사고로 이어지지 않은 경우도 안전사고에 포함됐다. 환자 안전사고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충분한 체계적 교육 없이 전공의 업무 전가', '구두·대리 처방 증가' 등이 꼽혔다.
간호사 475명을 대상으로 전공의 이탈 후 간호사 업무 범위를 벗어난 추가 업무 증감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증가 또는 매우 증가'라는 응답이 69.7%를 차지했다. '변화없음'이 29.9%, '감소 또는 매우 감소'라고 말한 응답은 0.4%에 그쳤다.
병원 노동자들의 건강도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의 이탈 사태로 어느 정도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802명 중 46.2%는 '스트레스를 받거나 매우 받는다'고 대답했다. '보통'이라는 응답은 37.6%, '스트레스를 받지 않거나 거의 받지 않는다'는 응답은 16.2%였다.
응답자 816명 중 악화 건강상의 문제(중복응답 가능)로는 '근골격계질환(23.0%)'이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다. '수면장애(22.2%)', '위장관질환(11.2%)', '불안장애·우울증(10.5%)' 등이 뒤를 이었다.
박경득 의료연대본부장은 "의료대란의 해법은 전공의가 빠진 자리를 무엇으로 대체할 것인가에서 끝나지 않는다"며 "의료가 상품이 되어버린 한국 의료의 문제를 근본부터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자 단체인 한국증증질환연합회도 이날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으로 인한 전공의 이탈로 야기된 의료 현장에서 중증질환자와 국민이 버틴 참담한 시간은 벌써 1년이 지나가고 있다"며 "정치권은 이번 의료공백으로 야기된 중환자 피해 조사기구를 발족해 환자 피해에 대한 명확한 조사를 실행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