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김영봉 기자]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24일 경찰에 출석한 데 이어 검찰에는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했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특수본)는 이날 오전 김 차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서 내란 우두머리(수괴) 혐의를 받는 윤 대통령 사건을 넘겨받은 특수본은 김 차장을 상대로 윤 대통령이 계엄 선포 전 국회 무력화나 우원식 국회의장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주요 정치인 체포 등을 사전에 계획했는지 캐물을 방침이다.
12·3 비상계엄 사태 핵심 증거 중 하나인 비화폰(보안 처리된 전화기) 통신기록 삭제에 관여했는지도 물을 계획이다.
앞서 이날 오전 7시20분께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특수단)에 출석해 조사를 받은 김 차장은 오전 9시50분께 특수단에서 나와 특수본으로 향했다.
김 차장은 특수단 조사 전 '이광우 경호본부장이 기관단총 배치했다고 인정했는데 김 차장이 지시했냐'는 질의에 "그런 사실이 없고 관저에 배치한 게 아니다. 총은 평시에 배치돼 있는 총"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노총이 대통령 관저 내부에 침입하는 것에 대비한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동일한 건물 내에서 위치만 조정된 것이며,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 모르는 것에 대비한다"며 "(기관단총 배치를 옮기라고 한 것은) 이 본부장의 지시"라고 답했다.
비화폰(보안 처리된 전화기) 통신기록 삭제 지시 의혹에 대해서는 "비화폰은 특성상 이틀마다 자동삭제 된다"며 "자동삭제 돼 있는 것을 제가 지시할 이유도 없다"고 말했다.
피의자 신분인데 경호처장 직무대행을 계속하는 것이 맞냐는 질문에는 "대안을 달라"며 오히려 취재진에게 답을 요구했다.
김 차장은 지난 3일 공수처와 특수단으로 구성된 공조수사본부(공조본)의 윤 대통령 1차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를 받는다. 특수단은 1차 영장 집행을 저지한 김 차장과 박종준 전 경호처장, 이 경호본부장, 이진하 경비안전본부장, 김신 가족부장 등 경호처 수뇌부 5명을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입건했다.
김 차장과 이 경호본부장, 김 부장은 야권에서 경호처 내 '김건희 여사 라인'으로 지목한 인물들이다.
kyb@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