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정채영 기자] 국회 측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에서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책임을 부정해 실망스럽다며 부정선거 같은 음모론을 재판정에 갖고 오지 말라고 비판했다. 윤 대통령 측은 선거관리위원회 점거는 부정선거 논란을 확인하는 차원이었다고 밝혔다.
국회 측 대리인단은 21일 오후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3차 변론기일을 마치고 나와 이같이 말했다.
변호인단은 "피청구인이 의견을 얘기하며 검찰이나 수사 기관의 수사 결과를 전면 부정해 실망스럽다"며 "재판 과정에서 피청구인의 책임이 그대로 드러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회 측 대리인 김진한 변호사는 "피청구인이 모처럼 (심판정에) 나왔으면 제일 먼저 국민들께 끼친 걱정과 혼란에 사과하는 것이 대통령으로서 첫 행동이 아니냐"고도 했다.
이들은 '윤 대통령의 부정선거 주장을 헌재에 제한해달라고 한 이유'를 묻는 취재진에게 "비상계엄을 왜 선포했는가를 답해야 하는데 음모론을 끌고 와 전면적 부정선거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이를 재판부에서 들어줘야 하는가"라고 답했다.
최 총리에게 '비상입법기구 쪽지'를 전달하지 않았다는 주장을 놓고 "수사 기록 전문을 입수하지 않아 살펴봐야 한다"면서도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국회 긴급현안질의를 보면 윤 대통령이 쪽지를 건넸다는 최상목 권한대행의 진술이 있다"고 설명했다.
국회 측보다 늦게 심판정을 빠져나온 윤 대통령 측 변호인 윤갑근 변호사는 "선거 관리 시스템을 여러 번 점검했고, 문제가 밝혀진 것"이라며 "부정선거냐, 선거부정이냐에 대해 오랫동안 논란 있었는데 문제가 지속되니 점검해서 국민 분열도 막고 공정성 확보 차원에서 해결하고 싶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윤 대통령 측은 변론기일이 끝나고도 한 시간가량 늦게 헌재를 빠져나왔다. 이에 대해 윤 변호사는 "오늘 재판 과정 문제를 논의하고 청구인 측 주장의 문제점들과 우리가 준비한 것이 충분했는지 살펴봤다"고 설명했다.
'1차 포고령의 위헌성을 인정하느냐'는 말에는 "위헌성은 실천 계획과 함께 검토해 봐야 한다"며 "문헌만으로는 (위헌성이 인정) 안 된다"고 주장했다.
chaezero@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