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김영봉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하고 있는 경찰이 18일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이광우 대통령경호처 경호본부장을 체포했다. 경찰은 김성훈 차장에 이어 경호처 수뇌부 2명의 신병을 확보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특수단)은 이날 오전 10시3분께 이 본부장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했다. 이 본부장은 지난 3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특수단으로 구성된 공조수사본부(공조본)의 윤 대통령 1차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를 받는다.
이 본부장은 이날 오전 9시45분께 특수단에 출석하며 "오늘 수사기관 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면서도 "경호처는 경호구역 내에서 정당한 임무를 수행했을 뿐"이라고 혐의를 부인했다.
'영장 집행을 부당하게 막았다는 혐의를 인정하냐', '집행을 막은 것은 누구 지시였냐', '경호처 직원들 대통령 생일파티 동원 의혹을 어떻게 생각하냐', '직원들 무기 사용이나 무장 지시했나' 등 질문에는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다.
앞서 특수단은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한 김 차장과 이 본부장, 박종준 전 경호처장, 이진하 경비안전본부장, 김신 가족부장 등 경호처 수뇌부 5명을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입건했다. 이들 중 김 차장과 이 본부장, 김 부장은 야권에서 경호처 내 '김건희 여사 라인'으로 지목한 인물들이다.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은 특수단의 세 차례 출석요구에 불응하면서 체포영장이 발부됐다. 특수단은 지난 15일 윤 대통령 2차 체포영장 집행 당시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을 함께 체포할 계획이었지만, 대통령 경호가 필요하다는 요청에 따라 추후 출석을 확약받고 영장 집행을 보류했다.
김 차장은 전날 특수단에 출석했으며, 특수단은 곧바로 김 차장을 체포했다. 김 차장은 "법률에 따라 경호업무를 수행했고, 무기사용 지시도 하지 않았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김 차장은 이날 오전에도 2차 경찰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