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트럼프 관세 정책, 미국인 54% 반대"
  • 이성락 기자
  • 입력: 2025.04.06 09:51 / 수정: 2025.04.06 09:51
WSJ 1월 조사 대비 반대 여론 증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3일(한국 시간) 백악관 경내 로즈가든에서 상호관세 부과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3일(한국 시간) 백악관 경내 로즈가든에서 상호관세 부과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AP.뉴시스

[더팩트ㅣ이성락 기자] 경제적 혼란을 일으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관련해 미국 내 반대 여론이 적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 5일(한국 시간)자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6일 동안 미국 유권자 15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응답자 54%가 반대 입장을 표했다.

지난 1월에는 관세 정책을 지지한다는 응답이 48%, 반대한다는 응답이 46%였다. 이번 조사에서는 지지 응답이 42%로 감소했다고 WSJ은 설명했다.

응답자 4분의 3은 트럼프 대통령의 수입 관세 폭탄 이후 장바구니 물가가 크게 상승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최근 식품과 일반 생필품의 사재기 열풍이 일어나고 있는 것도 이러한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 전반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시각이 많아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에 반대한다는 응답이 52%로 찬성한다는 응답(44%)보다 늘었다.

대선 직전인 지난해 10월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40%로 찬성한다(50%)는 응답보다 적었지만, 지금은 찬반이 역전된 셈이다.

다만 경제 정책 불만에도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에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난해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투표한 유권자의 93%는 여전히 그를 지지한다고 답했다.

전체 유권자 기준으로는 46%가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전인 1월과 비슷한 수준이다.

미국의 정치적 양극화 현상은 이번 여론조사에서도 뚜렷하게 확인됐다. 현재 미국 경제가 악화하고 있다는 답변은 52%로, 지난 1월 여론조사(37%)에 비해 크게 늘었지만, 응답자의 41%는 미국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응답했다.

트럼프 행정부 고위 인사에 대한 여론은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JD 밴스 부통령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50%, 긍정적 평가는 43%였다.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 정부효율부 장관에 대한 부정적 평가도 53%에 달했다.

rocky@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