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헌일 기자] 이재명정부 첫 한미 정상회담이 우여곡절 끝에 오는 25일 미국 백악관에서 열린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한 지 82일 만이다.
당초 지난 6월 G7 정상회의 일정 중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조기귀국으로 무산됐고, 이후에는 관세협상을 진행하면서 두 달여 만에 성사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초청으로 25일 한미 정상회담 개최를 위해 24일부터 26일까지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12일 밝혔다.
현재까지 확정된 일정은 정상회담과 업무오찬이다. 양 정상은 변화하는 국제 안보 및 경제 환경에 대응해 한미 동맹을 미래형 포괄적 전략 동맹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더욱 강화해 나가는 가운데 한반도 평화 구축과 비핵화를 위한 공조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또한 앞서 타결된 관세협상을 바탕으로 반도체, 배터리, 조선업 등 제조업 분야를 포함한 경제협력과 첨단 기술, 핵심 광물 등 경제 안보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협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회담은 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취임 뒤 첫 대면으로, 이 대통령이 지난 6월 4일 취임한 지 82일 만이다. 또한 앞서 G7 정상회의 기간 예정됐던 회담이 취소된 지 두 달여 만에 다시 성사된 것이다.
당시 한미 양국은 캐나다 현지시간으로 6월 17일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었다. 이 대통령이 취임 2주 만에 G7 정상회의 참석을 결정한 것도 한미 정상회담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분석이었다.
그러나 회담 예정일을 하루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급변한 중동 정세를 이유로 G7 정상회의 일정을 조기종료하고 귀국하는 변수가 발생했다. 미국 측에서 양해를 구했고, 정상회담은 무산됐다. 바로 이어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에서 양 정상이 만날 가능성도 점쳐졌지만 성사되지 않았다.
이후 대통령실은 가장 빠른 계기를 찾아 정상회담을 다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6월 말 미국 출장을 다녀온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약간의 진전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시점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조속히 추진하자는 공감대가 있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런 가운데 최대 현안이었던 관세협상이 미국 측이 설정한 상호관세 유예 종료 기한을 앞두고 본격화됐다. 대통령실과 정부 각료 다수가 미국으로 향해 협상에 역량을 집중했고, 재계 총수들도 잇따라 미국을 찾으며 지원사격에 나서는 모습이었다.
긴박하게 논의를 이어가던 양 측은 지난달 31일 상호관세율을 15%로 낮추기로 합의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SNS에서 협상 타결 소식을 알리면서 2주 이내에 백악관에서 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개최하겠다고 공언했다. 이후 양 측이 조율을 거친 끝에 일정이 확정됐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번 방문은 공식 실무 방문"이라며 "양 정상 간 상호 관심 의제에 대해 실질적으로 심도있는 협의를 갖는데 초점을 뒀다. 공식 환영식은 생략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미 정상회담과 연이어 개최될 가능성이 점쳐지던 한일 정상회담은 아직 일정이 정해지지 않았다.
강 대변인은 "(양 국 정상 간) 셔틀외교를 재개하자는 교감이 있었다"며 "그런 교감 아래 여러 가능성을 타진 하고 있다. 결정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honey@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