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정소양 기자]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들이 공천 방식과 관련해 ‘완전국민경선제’ 도입 여부를 두고 견해차를 보였다.
10일 서울 종로구 채널A 스튜디오에서 열린 당대표 후보 방송토론회에서 4명의 후보는 해당 제도에 대해 찬반 의견을 명확히 밝혀 눈길을 끌었다.
김문수 후보는 완전국민경선제에 찬성 입장을 보이면서도 전제조건을 달았다. 그는 "기본적으로 당원 중심으로 해야 하지만, 여야가 선거법 개정에 합의한다면 미국식으로도 갈 수 있다"며 "더불어민주당이 동의한다면 도입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당원의 투표를 기본으로 해야 하며, 당원 중심이면서도 국민도 함께하는 공천이 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경태 후보는 "완전국민경선제의 취지는 당대표나 유력 정치인이 공천권에 개입하지 말자는 데 있다"며 적극적인 찬성 입장을 보였다. 그는 "당대표가 되면 반드시 당원 주권시대를 열겠다"며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경쟁력을 가지려면 공천 심의 과정부터 투명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안철수 후보는 완전국민경선제에 명확히 반대했다. 그는 "이 제도를 도입하면 민주당 당원도 경선에 참여할 수 있어 선거 결과 자체가 혼탁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공천은 100% 당원 투표로 이뤄져야 하며, 현재 일부 여론조사로 후보를 뽑고 있는 방식은 문제가 많다"며 "OECD 국가 중 여론조사로 후보를 선출하는 곳은 없다"고 비판했다.
장동혁 후보 역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하면 결국 인지도가 높은 기득권 인사만 유리해진다"며 "진입장벽을 낮추는 조치 없이 상향식 공천을 하면 새로운 인재가 진입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실적인 조건을 먼저 개선하지 않는 이상, 내년 지방선거에서는 이 제도를 도입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jsy@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