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한미정상회담 재추진 여부에 "美와 소통 중"
  • 김정수 기자
  • 입력: 2025.06.19 15:31 / 수정: 2025.06.19 15:31
트럼프 급거 귀국, G7 계기 정상회담 불발
北 공병 파견엔 "러와 외교채널로 소통 중"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19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무산된 한미 정상회담 재추진과 관련해 한미 정상회담 등 고위급 교류와 관련해서는 미 측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다. /임영무 기자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19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무산된 한미 정상회담 재추진과 관련해 "한미 정상회담 등 고위급 교류와 관련해서는 미 측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다. /임영무 기자

[더팩트ㅣ김정수 기자] 외교부는 19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무산된 한미 정상회담 재추진과 관련해 미국 측과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을 통해 "한미 정상회담 등 고위급 교류와 관련해서는 미 측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변인은 "발표드릴 사항이 있으면 유관기관에서 적절히 말씀드릴 기회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6~17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 정상회담을 계획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동 정세에 따른 급거 귀국으로 무산됐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16일 G7 정상회의가 열리는 캐나다 현지에서 브리핑을 열고 "트럼프 대통령이 갑자기 귀국을 하게 됐기 때문에 내일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은 어렵게 됐다"며 "이스라엘-이란의 군사적 충돌 문제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고 밝힌 바 있다.

이어 "미국 측으로부터는 그런 상황이 발생한 때쯤 우리에게 양해를 구하는 연락이 왔다"고 부연했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도 같은 날 현지에서 기자들을 만나 "물론 (한미 정상회담은) 가장 빠른 계기를 찾아서 다시 주선하려 한다"고 말했다. 또 이와 관련해 "(공식) 리셉션과 만찬에서 여러 고위급 인사들과 교류했는데 그때쯤 트럼프 대통령 귀국 소식이 전해졌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외교부는 북한이 러시아에 공병 병력과 군사 건설 인력 등 총 6000명을 추가로 파견한 사안과 관련해 러시아와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대변인은 관련 질의에 "러시아 측과는 외교 채널을 통해 필요한 소통을 계속하고 있다"고 답했다.

정부는 북한 해외 노동자의 접수 및 고용은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엄중한 우려를 표한다는 입장이다. 유엔 안보리 결의 2397호는 해외에서 소득을 창출하는 모든 북한인을 송환할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북러 간 불법적 협력은 확산하는 형국이다. 일본 NHK는 이날 러시아 외교 소식통 등을 인용, 북한이 러시아 드론 생산 공장에 2만5000명의 노동자를 파견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js8814@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