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헌일 기자] 제21대 대선 사전투표가 지난 대선과 비교해 2.19%포인트 낮은 34.74%의 투표율을 기록하며 마무리됐다.
전남과 전북, 광주 등 더불어민주당 텃밭이 높은 투표율을 기록한 반면 대구, 경북, 경남 등 보수 강세 지역은 평균보다 낮았다.
3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사전투표 이틀째 마감시간인 오후 6시까지 전체 유권자 4439만1871명 가운데 1542만3607명이 투표를 마쳤다.
이로써 이번 대선 사전투표율은 최종 34.74%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22년 20대 대선 때 36.93%보다 2.19%포인트 낮은 수치다.
이번 사전투표율은 전날부터 이날 오후 1시 기준 집계치까지는 역대 사전투표가 적용된 전국단위 선거의 동시간대 투표율 중 역대 최고치를 이어갔으나 오후 2시 기준 누계에서 지난 대선 수치에 역전됐다. 지난 대선은 사전투표일 이틀째가 토요일이었던 반면 이번에는 이틀 모두 평일이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다만 지난해 22대 총선 사전투표율인 31.28%보다는 3.46%포인트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지역별로는 전남이 56.50%로 가장 높았고, 전북 53.01%, 광주 52.12%로 뒤를 이었다. 대구는 25.63%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20%대를 기록하며 가장 낮은 투표율을 보였고, 이어 부산 30.37%, 경북 31.52% 순이다.
다른 지역은 △서울 34.28% △인천 32.79% △대전 33.88% △울산 32.01% △세종 41.16% △경기 32.88% △강원 36.60% △충북 33.72% △충남 32.28% △경남 31.71% △제주 35.11% 등이다.
지난 대선과 비교하면 광주와 전남, 전북 등 민주당 텃밭 지역은 오히려 사전투표율이 상승했다. 광주는 48.27%에서 52.12%, 전남은 51.45%에서 56.50%, 전북은 48.63%에서 53.01%로 올랐다. 제주도 33.78%에서 35.11%로 소폭 상승했다.
나머지 지역은 모두 지난 대선보다 사전투표율이 낮았다. 특히 대구와 경북은 각각 33.91%에서 25.63%, 41.02%에서 31.52%로 큰 폭으로 줄었다. 수도 서울은 37.23%에서 34.28%로 낮아졌다.
전반적으로 전통적으로 보수 성향이 강한 지역의 투표율이 낮은 경향이 두드러졌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과정에서 부정선거 의혹이 크게 확산된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전투표는 전날과 이날 이틀 동안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국 3568개 투표소에서 진행됐다. 선관위는 이번 선거 사전투표부터 각 투표소별 관내·관외 투표자 수를 1시간 단위로 공개하고, 사전투표함 CCTV 24시간 공개, 투표지 수검표 등 투명성 강화 조치를 시행했다.
그러나 일부 투표소에서 허점이 드러나며 공정성 논란이 불거졌다. 전날 오전 11~12시쯤까지 서울 서대문구 소재 신촌동사전투표소에서 일부 관외사전투표자가 본인확인 및 투표용지 수령 후 기표 대기줄이 투표소 밖까지 이어지는 발생했다. 일부 유권자는 투표지 등을 소지한 채 이동해 식사를 하고 온 것으로 알려졌다.
비판이 커지자 중앙선관위는 국민들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했다.
김용빈 중앙선관위 사무총장은 전날 오후 서면 입장문을 통해 "오늘 사전투표 과정에서 관리 부실이 있었다"며 "투표소 현장 사무 인력의 잘못도 모두 선관위의 책임임을 통감하며, 중앙선관위 사무총장으로서 국민 여러분께 깊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다만 "다행인 것은 신촌동사전투표소 마감 결과, 관외사전투표자 투표용지 발급매수와 관외사전투표함 내 회송용 봉투가 정확히 일치했다"며 "즉, 반출된 투표지는 없었으며 투표소 밖에서 대기하던 모든 선거인이 빠짐없이 투표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공정성 논란에는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