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부천=김세정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는 변호사 자격이 없어도 대법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박범계 의원의 법안에 대해 "섣부르다"고 선을 그었다.
이 후보는 24일 경기 부천시 소사구에서 진행된 'K-이니셔TV - 생애 첫 투표자 납시오! 젠지능력평가' 유튜브 라이브 방송 후 기자들과 만나 "그건 민주당 입장이나 제 입장이 전혀 아니라는 말씀을 드린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박 의원은 대법관 수를 기존 14명에서 30명으로 증원하고, 임용 자격에 '학식과 덕망이 있고, 각계 전문 분야에서 경험이 풍부하며 법률에 관한 소양이 있는 사람'을 추가하는 내용의 법원조직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이 후보는 "개별 의원의 개별적 입법 제안에 불과하다"며 "저는 비법률가에게 대법관 자격을 주는 건 신중해야 한다, 섣부르다고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이런 건 신중하게 논의를 거쳐 하면 좋겠는데 당에도 그런 문제를 자중하라고 오늘 아침에 지시했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지금은 내란을 극복하는 게 더 중요하다"며 "국민들이 이 나라 운명을 두고 판단하는 시점인데 불필요하게 그런 논쟁을 만드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가 과거 '부정선거' 주장을 문제 삼은 데 대해선 "하도 오래전 얘기라서 제가 기억이 없는데, 기억으로는 당시 국정원 댓글조작으로 인한 선거부정을 얘기했다"며 "부정선거를 했다는 게 아니고, 수개표나 즉각개표가 더 확실하지 않나 이런 생각을 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전날 열린 2차 TV토론에서 이전과는 달라진 태도를 보였다는 평가에 대해선 "저번 토론은 웬만하면 다 수용해주자는 게 캠프 방침이었다"라며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해도 수긍하자, 받아주자는 게 기본 방침이었는데 1차 토론 끝나고 보니까 너무 말도 안 되는 얘기를 하더라"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정치가 아니라 싸움이 됐다. 상대방 말을 조작하고, 없는 말을 했다고 우기고, 객관적 데이터를 거짓말하고 그렇게 하면 그건 토론이 아니다"라며 "(3차 토론에선) 그런 점들이 좀 시정됐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이 후보는 '공공기관과 금융기관에 성소수자 30%를 넘기도록 하겠다'는 발언이 있었다는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의 주장에 대해서도 강하게 반박했다. 그는 "여성이든 남성이든 어느 쪽이든 특정 성별을 70% 넘기지 않겠다, 소위 남녀 할당을 보장하겠다는 말이었는데 그걸 성 소수라고 발언을 순간적으로 잘못해서 당시 시정했다"며 "유력 대선 후보라는 분이 그걸 몰랐다면 문제고, 알고도 그랬다면 그것도 문제"라고 직격했다.
이 후보는 "그건 곡해도 아니고 음해"라며 "이런 식으로 하면 안 된다. 말실수인 게 분명하고, 얘기도 했는데도 그런 식으로 음해하면서 공격하는 것들은 정말로 문제라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3차 토론은 우리 국민들 눈높이 수준에 맞는 품격 있는 토론이 됐으면 좋겠다"며 "자꾸 없는 얘기로 흠집 내고, 왜곡하고, 조작하고, 이런 식으로 말다툼이 되지 않았으면 하는 기대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후보는 국민과의 소통 강화를 위한 구상도 밝혔다. 그는 "대통령이든, 시장이든, 군수든, 국가 행정 책임자의 최소 책임이라고 생각한다"며 "아무튼 앞으로, 대통령으로 직무를 할 기회를 국민께서 주시면 국민들이 원하는 바, 억울해서 하소연하는 바, 국민 지시하는 바를 잘 따르려고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 '공공갈등조정단'이라는 기구를 설치해 이해관계 충돌을 조정하고, 억울함을 해소하는 방식의 소통을 추진할 계획이라고도 밝혔다.
sejungkim@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