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신진환 기자] '이재명이냐, 김문수냐, 아니면 한덕수냐.'
한 달 앞으로 다가온 대선 대진표가 한 차례 더 선명히 윤곽을 드러냈다. 거대 양당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본선에 올랐다. 김 후보는 국무총리직을 내려놓고 선수로 뛰어든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와 단일화 가능성이 있다. 사선에 선 이들은 속사정은 복잡하다. 치열한 대권 경쟁을 벌일 이들은 정치적 리스크를 안고 선거를 뛰어야 한다.
이 후보의 사법리스크는 대선 내내 불안 요인으로 꼽힌다. 대법원이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 한 이후 파기환송심 첫 공판이 오는 15일 진행된다. 대선을 불과 3주 앞둔 공식 선거운동 기간이라는 점에서 이 후보는 정치적으로 타격을 받을 수도 있다. 유권자의 시선이 이 후보로 쏠릴 수밖에 없기에 정치적 부담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이 후보는 첫 기일 출석 여부와 무관하게 보수 진영의 공세를 피하기 어렵다. 국민의힘은 가장 앞서는 이 후보를 추격하는 처지이기 때문이다. 이 후보의 사법리스크를 최대한 부각해 반사이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전략을 마다할 이유가 없다. 특히 이 후보의 첫 기일이 한창 본선 레이스의 열기가 뜨거울 때라 국민의힘은 중도·무당층의 표 사냥에 적극 나설 전망이다.
이미 국민의힘은 이 후보를 향해 맹공을 퍼붓고 있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3일 대선 후보 선출 전당대회에서 "이 후보는 감옥에 가지 않기 위해 대통령이 되려는 사람"이라며 "이미 전과 4범에 최근 대법원에서 전과 5범이 확정된 정치 무자격자"라고 비판했다. 그는 "별이 다섯 개인 돌침대는 들어봤어도 별이 다섯 개인 대통령 후보는 들어보셨나"라고 비꼬았다.
김 후보는 12·3 비상계엄을 일으켰던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에 대해 여러 차례 '반대' 견해를 밝혔다. 국민을 충격의 도가니로 빠뜨렸던 계엄의 원인을 민주당의 연쇄 탄핵으로 돌리며 윤 전 대통령을 두둔했다. 그는 지난 전당대회에서 대선 후보로 선출된 직후 기자간담회에서도 "윤 전 대통령의 출당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없다"라며 관계 단절에 선을 그었다.
윤 전 대통령과 '손절'하지 못하는 점은 김 후보의 외연 확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 후보가 탄핵 반대파였다는 점은 강성 보수 지지층에 대해 소구력이 있을 수는 있다. 반대로 중도·무당층에 반감을 살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복수의 여론조사에서 탄핵 찬성론이 우세했었고 지금도 정권 교체론에 힘이 실리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김 후보가 극우층 일부에서 제기하는 '부정선거 음모론'에 동조했던 점도 외연 확장에 부정적 요인으로 꼽힌다. 그는 지난달 24일 경선 토론회에서도 "우리나라의 선거 관리가 부실하고 특히 사전투표에 많은 문제가 있다"라고 말했다. 실제 사전투표제 폐지를 공약했다. 지난해 "일제강점기 당시 선조의 국적은 일본" 발언으로 뉴라이트 역사관이 논란이 된 적도 있다.
김 후보와 단일화 승부가 예상되는 한 후보는 선거를 공정하고 중립적으로 관리할 총리직을 던지고 직접 대선에 나섰는데, 이 자체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한국리서치가 KBS 의뢰로 지난 22~24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3000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 '대선에 출마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응답이 70%에 달했다. 대선 출마 찬성 의견은 23%에 그쳤다.
한 후보가 범보수 진영의 불리한 대선 국면을 뒤집을 '구원투수'로 여겨지지만, 국민 다수가 반대했던 대선 출마를 감행하면서 '이재명 대항마'로 부상할지는 미지수다. 국민의힘 경선을 '프리패스'하면서 형평성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한민수 민주당 선대위 대변인은 3일 현안 브리핑에서 "이제 국민은 내란 2인자 한 전 총리와 내란 잔당 김 후보의 대결을 보아야 한다"라면서 "국민에 대한 배신이자 인질극"이라고 꼬집었다.
한편 본문에 인용된 한길리서치 여론조사는 면접원에 의한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8%포인트이며 응답률은 20.5%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을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