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고양=김정수 기자] 더불어민주당 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김경수·김동연 후보를 여유롭게 따돌리며 민주당 대선 후보로 최종 확정됐다. 압도적인 표차를 고려해 보면 두 김 후보가 이 후보의 독주를 견제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27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민주당 수도권·강원·제주 합동연설회 종료 이후 중앙당선거관리위원회가 발표한 누적 집계 결과에 따르면 이 후보는 누적 집계 89.77%를 기록했다. 반면 김경수 후보는 3.36%, 김동연 후보는 6.87%에 그쳤다.
김경수 후보는 이 후보와 정책적 차별화를 구사하는 전략을 펼쳤다. 김 후보가 내세운 '국민 기본생활 보장제도'가 대표적이다. 해당 제도는 소득에 따른 차등적 지원을 골자로 하는 만큼, 소득과 무관하게 누구에게나 동일한 지원금을 지급하는 이 대표의 '기본소득'과 차이를 보였다.
김 후보가 제시한 '징병·모병 혼합제'는 저출산 국면에 따른 병역제도 개편의 필요성과 맞물려 주목을 받았다. 병력을 35만명 수준으로 감축하면서도 부족 병력분은 모병으로 충원하자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김 후보는 통일부를 평화·협력부로 전환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다만 김 후보는 '착한 2등 전략'으로 출마했다는 지적을 경선 막판까지 해소하지 못했다. 이 후보를 견제하기보다는 발걸음을 맞춘다는 비판이었다. 김 후보가 '친노·친문 적자'임에도 당내 경선에서 3위를 기록한 건 이에 대한 방증이라는 해석이다.
이와 달리 김동연 후보는 이 후보와 각을 세우며 존재감을 드러내고자 했다. 그는 대선 경선 TV 토론회에서 이 후보와 대통령실 세종시 이전 문제, 비동의 강간죄 도입, 원전 및 재생에너지 등을 두고 부딪혔다.
김 후보는 또 지난 26일 호남권에서도 이 후보의 '경선 독주'가 이어지자 "특정 후보에게 90% 가까운 표가 모여드는 건 건강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또 "민주당 내부의 민주주의부터 더 크게, 더 깊게 만들어가자"고 지적하기도 했다. 다만 김 후보의 견제구도 이 후보를 제어하기엔 역부족이었다.
두 김 후보는 민주당의 마지막 대선 경선 일정인 수도권·강원·제주 합동연설회에서 이 후보의 당선을 전제한 듯한 발언을 이어가기도 했다. 김경수 후보는 "오늘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의 날"이라고 밝혔고, 김동연 후보는 "누가 대통령 후보가 되든 압도적 정권교체를 위해 더 크게 힘을 모으자"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전체 당원선거인단 투표에서 90.3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전국대의원 85.10%, 권리당원 90.40%, 재외국민 98.69% 등이다. 이 후보는 일반 국민 여론조사에서도 89.21%를 얻었고, 총 누적 집계 89.77%로 본선행 티켓을 거머쥐었다.
이 후보의 득표율은 민주당계 경선 사상 최고 득표율이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18대 대선과 19대 대선 경선 당시 각각 56.5%, 57.0%를 기록했고 20대 대선 경선에서는 이 후보가 50.29%를 얻은 바 있다.
이 후보 개인적으로도 최고 득표율이다. 이 후보는 2022년 당대표 선거 때는 77.77%를 기록했고, 지난해 당대표 선거에서는 85.40%로 연임에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