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동현 기자]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오는 주말 호남권 순회 경선을 앞두고 "지역 공약을 남발하는 것이 바뀌어야 한다"고 밝혔다.
23일 오전 KBS 광주방송 제1라디오 '출발 무등의 아침'에 출연한 김 전 지사는 "대선 때만 되면 후보들이 지역 연고를 찾아서 호남의 사위, 영남의 아들 이런 이야기들이 그때마다 나온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대선 때가 되면 (후보들이) 지역 공약을 남발한다"며 "지역에 연고가 있는 후보라면 더 낫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 같은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그것이 대선이 끝나고 나면 빌 공(空)자 공약이 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제는 그런 것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전 지사는 이어 "중앙 정부는 대선 때만 되면 후보들에게 온갖 지역 발전 계획을 공약으로 만들어 달라고 요청한다"며 "이제는 지역의 운명은 지역 스스로 지역민과 함께 지방 정부가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지역이 제대로 발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전 지사는 공약인 5대 메가시티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그는 "지역 발전과 국가 균형 발전을 위해 5대 권역별 메가시티로 가야 한다"며 "이제 중앙 정부가 좌지우지하지 말고 메가시티별로 충분하게 자율적인 예산을 배정해 지역 스스로 발전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중앙 정부가 지역에 대해 감 놔라, 배 놔라 하는 시대를 벗어나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현재 17개 시도 체제로는 더 이상 지역 균형 발전은 어렵다"며 "제가 경남도지사로 일하며 경남만이라도 부산과 울산을 묶어 수도권처럼 권역별 발전 계획을 세워보고자 했지만 중앙 정부가 함께 적극적으로 정책을 추진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꼬집었다.
김 전 지사는 5대 메가시티를 추진하며 지방 정부에서 자율적으로 쓸 수 있는 예산을 편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다음 정부는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5개 권역으로 묶고 △강원 △전북 △제주는 특별자치도로 5+3 체제로 행정 구역을 개편해야 한다"며 "메가시티별로 지방 정부를 만들어 메가시티에는 연간 5조 원, 특별자치도에는 2조 원을 배정해 스스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광주시장이 예산 철만 되면 중앙부처를 쫓아다니며 발이 닳도록 구걸하고 다닌다"며 "저는 이것을 지방자치가 아니라 구걸자치라고 이야기하는데 이런 시대는 이제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