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김정수·이동현 기자] 외교부는 22일 중국의 서해 구조물 설치 논란에 대해 "정부는 서해에서 우리의 정당하고 합법적인 해양 권익이 침해돼서는 안 된다는 기본 입장하에 앞으로도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을 통해 "중국 측과도 필요한 대화와 소통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중국 기업이 서해 잠정조치수역(PMZ)에서 어업 양식 시설을 건설하는 것은 한중 협정을 위반한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한국 측이 객관적이고 이성적으로 (해당 사안을) 바라보기 바란다"고 부연했다.
중국은 서해 한중 PMZ에 반잠수식 구조물 선란(深蘭·Deep Blue) 1·2호를 각각 2018년과 2024년에 설치한 데 이어, 구조물 1기를 추가로 설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중국 측은 해당 구조물이 자국 어업 기업과 해양대학 등이 심해에서 연어를 양식하기 위해 개발한 시설이라고 주장한다. 문제는 중국이 이를 통해 남중국해의 경우처럼 영유권을 주장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중국은 지난 2014년부터 남중국해에 인공섬을 만든 뒤 군사 기지로 활용, 관련 영역에 자국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중국의 서해 구조물 설치도 이처럼 비슷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비례 대응'을 비롯해 범부처 차원에서 강력히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전날 "비례 조치를 포함해 실효적으로 가능한 부분을 고민하고 있다"며 "정부에서 공동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정부는 이르면 이번 주 개최될 예정인 제3차 한중해양협력대화를 통해 관련 문제를 중국 측과 논의할 전망이다.
js8814@tf.co.kr
koiflag@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