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재생에너지 확대 시급…원전 감축 속도 조절해야"
  • 이동현 기자
  • 입력: 2025.04.17 16:32 / 수정: 2025.04.17 16:32
"AI 전환 맞춰 재생에너지·원전 조화 필요"
"尹, 기후변화 대응 실패…시기 놓쳐서야"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17일 인공지능(AI) 전환 과정에서 재생에너지 인프라를 확충함과 동시에 원자력 발전소의 감축 속도도 함께 조절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김 전 지사(왼쪽)와 카트린 스테른펠트 잠메 스웨덴 말뫼 시장이 간담회를 하는 모습. /고양=이동현 기자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17일 인공지능(AI) 전환 과정에서 재생에너지 인프라를 확충함과 동시에 원자력 발전소의 감축 속도도 함께 조절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김 전 지사(왼쪽)와 카트린 스테른펠트 잠메 스웨덴 말뫼 시장이 간담회를 하는 모습. /고양=이동현 기자

[더팩트ㅣ고양=이동현 기자] 제21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경선에 나선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17일 인공지능(AI) 전환 과정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 만큼 재생에너지 인프라를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동시에 원자력 발전소(원전)의 감축 속도도 함께 조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이날 오후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청에서 카트린 스테른펠트 잠메 스웨덴 말뫼 시장과 간담회를 가진 뒤 취재진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김 전 지사는 "AI뿐만 아니라 디지털 전환이 많은 에너지를 사용한다"며 "재생에너지와 기존 원전을 포함한 조화를 어떻게 할 것이냐는 부분은 함께 풀어야 할 과제 중 하나"라고 했다.

이어 "원전의 축소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며 "원전이 AI 전환 과정에서 에너지 대책의 유일한 방안이라고는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재생에너지 사용을 늘려가며 원전을 조금씩 줄이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것"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된 신규 원전 2기 건설에 대해선 "현재 전력 수요가 AI 전환 시대에 어느 정도 필요한지, 새로운 방식의 에너지 시스템 체계를 가동했을 때 모자람이 있는지 다시 따져봐야 한다"며 "지금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제출된 계획의 경우 그런 전환을 염두에 두지 않고 기존 방식대로 설계된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또 기후 변화 대응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지금 대한민국은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이후 기후 변화에 대응을 제대로 하고 있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지금 이 시기를 놓치면 환경 문제를 넘어 산업·경제 문제로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전 지사는 "특히 수출 중심의 산업 국가에서는 이 문제가 수출 장벽으로 작용하게 된다"며 "탄소국경세나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으로 생산되지 않은 제품의 수입을 하지 않겠다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어 지금을 놓치면 대한민국 경제에 심각한 타격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koiflag@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