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헌일 기자] 대선 출마를 선언한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AI 컴퓨팅 인프라 구축에 국가적 역량을 총동원하겠다는 내용의 AI 공약을 내놨다.
나 의원은 15일 오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G5 AI 강국 공약을 발표했다.
나 의원은 "절박한 마음으로 AI 주권 비상사태를 선언한다"며 "AI 주권을 확보하고 미래 기술 강국으로 도약할 국가 전략을 약속드린다. 핵심은 국가 AI 컴퓨팅 인프라의 총력 구축"이라고 밝혔다.
먼저 대통령 직속으로 AI 인프라 확보에 나선다. 최소 10조 원 이상을 과감히 투입, 최첨단 GPU 5만개 이상을 확보한다. 이를 위해 단단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미국 트럼프 정부, 여야 정계와의 특별한 네트워크를 활용하겠다는 구상이다.
반도체와 클라우드를 묶어 세계 최고 수준의 통합 AI 인프라를 만드는 한편 국가 인프라를 대학·연구소·스타트업에 전폭 개방해 누구나 마음껏 AI 혁신을 일으키도록 지원한다. 또 국산 NPU 활용 생태계를 정부가 직접 조성해 미국과 세계 각국이 우리 NPU를 팔아달라고 읍소할 수 있도록 AI 생태계 위상을 높인다는 목표다.
AI 주권을 지키기 위해 데이터 활용은 극대화하되 개인 정보 보호와 국가 안보, 데이터 주권 수호 원칙을 지킨다. 아울러 AI 인재들이 한국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환경과 파격적인 처우를 보장하는 'AI코리아 리더스 컴백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나 의원은 이같은 내용을 발표하면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AI 공약은 조목조목 지적했다.
우선 100조 원 투자에 대해서는 '어떻게' 쓸지에 대한 국가 전략이 없다고 비판했다. 'K-AI'를 두고는 윤석열 정부 정책 재탕이라며 현 정부의 AI 반도체 이니셔티브와 비슷한 내용을 야당 부호가 비전으로 제시하는 것 자체가 문제라고 꼬집었다.
이 후보의 GPU 5만개를 확보한다는 목표도 "외교·안보 현실을 외면한 공허한 숫자놀음"이라고 평가절하했다. 그는 "동맹과의 굳건한 신뢰, 기술 동맹 파트너로서의 비전 없이는 확보 자체가 불투명하다"며 "이 후보의 외교 노선에 대한 우려 속에서 이는 실현불가능한 공약일 뿐"이라고 잘라말했다.
또 이 후보의 공약을 활용 생태계 없는 NPU, 고품질 데이터 전략이 없는 데이터 개방, 핵심인재 유치 없는 대학 설립이라고 지적하며 양질의 인재가 돌아오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관련 규제도 '합리화'가 아니라 '제로'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 의원은 "AI 시대는 헛된 구호와 청사진이 아니라 냉철한 현실 인식과 구체적인 실천 계획, 강력한 추진력이 필요하다"며 "실력과 비전, 실행력을 갖춘 제게 대한민국 AI의 미래를 맡겨달라"고 호소했다.
honey@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