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국회=김세정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 비중으로 6·3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국민참여경선 방식을 최종 확정했다.
민주당 중앙위원회는 14일 중앙위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투표를 거친 결과 이같은 내용의 경선 규칙을 정하는 특별당규 제정의 건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권리당원 114만749명 중 34.1%인 38만9033명이 투표에 참여했으며 37만3978명이 특별당규 제정에 찬성했다. 찬성률은 96.64%이며 반대는 1만3055명으로 3.36%였다. 중앙위원은 590명 중 510명이 투표에 참여했고 96.47%(492명)가 찬성했다. 반대는 18명으로 3.53%였다.
중앙위 의장을 맡은 민홍철 의원은 "중앙위 투표 결과와 권리당원 투표를 합산하면 찬성 96.56%, 반대 3.44%로 과반 이상이 찬성했기에 의결안건 2호 특별당규 제정의 건이 가결됐음을 선포한다"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 12일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권리당원 투표 50%와 국민 여론조사 50%를 합산하는 국민 참여경선을 택하기로 했다.
민주당은 지난 19~20대 대선 때는 권리당원과 일반국민에게 '1인 1표'를 부여하는 국민경선 방식을 택해왔다. 그러나 당원 주권강화 움직임과 역선택 우려 등을 이유로 들어 이번 대선에서 방식을 바꾸기로 했다.
경선일로부터 12개월 전에 민주당에 가입해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110만여 명이 권리당원 투표 참여 대상이다. 나머지 50%인 일반국민 여론조사는 안심번호 100만개를 추출해 진행할 예정으로, 여론조사 기관 두 곳에 50만명씩 나눠 실시할 방침이다.
박찬대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중앙위원회에 참석해 "당원 민주주의라는 큰 토대 위에 국민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경선을 치르는 것이 골자"라며 "권리당원과 국민의 참여를 최대한 보장하면서, 동시에 외부 세력이 개입할 여지를 줄였다는 점을 말씀드린다"라고 설명했다.
이춘석 특별당규위원장도 "탄핵이라는 비상상황에서 진보와 보수, 탄핵 찬성과 반대, 극우와 사이버세력의 준동 등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며 "우리당 대선 경선이 축제 속에서 아름다운 경선을 만들어야 한다는 책임감 속에서 극우와 사이버세력의 놀이터가 될 수밖에 없는 위험성을 없애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비명계는 당의 이같은 결정에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김두관 전 의원은 이날 SNS를 통해 "후보들과 협의 없는 경선룰은 특정 후보를 추대하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며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배제한 민주당 경선 참여를 거부한다"고 밝혔다.
sejungkim@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