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서다빈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더불어민주당의 '국민참여경선' 확정에 절차적 협의가 부족했다고 반발했다. 민주당이 지난 주말 대선 경선룰을 확정하면서다.
14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한 김 지사는 "(완전국민경선이) 우리 민주당의 원칙이자 전통이다. 이 규칙으로 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이 당선됐고, 이재명 전 대표도 지난 대선 경선에서 이 룰로 당선이 됐다"며 "이 같은 원칙과 전통이 지금 파괴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12일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대통령 선거 후보를 당원 투표 50%와 국민여론조사 50%를 반영하는 '국민참여경선' 방식으로 선출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 19·20대 대선에서는 당원과 일반 국민에게 1인 1표를 보장하는 '국민경선 방식'을 채택한 바 있다.
그는 민주당 선거관리위원회와 후보자들 간의 충분한 협의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당 선관위에서는 캠프와 이야기했다는 해명을 내놓았다'는 진행자의 물음에 "사실과 다르다"며 "저희 캠프의 대리인이 이와 같은 정보를 입수하고 부당성과 여러 가지 논리를 가지고 우리가 자발적으로 (제출) 한 것을 협의했다고 이렇게 이야기를 하는 것 같은데 전혀 협의가 없었다"고 반박했다.
또한 민주당이 일부 보수층 지지자들의 '역선택' 우려를 이유로 국민경선 방식을 도입하지 않은 것은 핑계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그는 "룰을 바꾸기 위한 핑계에 불과하다. 우리 국민의 의식을 믿어야 한다"며 "박빙의 승부 끝에 만약 정권교체가 이뤄진다면, 우리 사회가 다시 한번 갈등과 대립의 구도로 빠질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국민의힘 내부에서 거론되는 '한덕수 차출론'에 대해 김 지사는 "염치가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이 내란과 계엄에도 어쨌든 총리로서의 일말의 책임을 느껴야 되는 위치"라며 "그 당(국민의힘)에서는 자체로 사람을 못 구해서 바깥에서 이렇게 늘 데리고 오는 이런 모습들이 염치가 없고 아름답지 못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bongouss@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