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국회=김세정 기자]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는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AI 투자 100조원 시대를 열겠다"며 AI 예산 대폭 확대를 약속했다.
이 전 대표는 14일 자신의 SNS에 "AI 세계 3대 강국으로 우뚝 서겠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이같이 밝혔다.
그는 "챗GPT와 딥시크는 전세계를 놀라게 했다. AI는 동시대 세계 경제의 판도를 바꿀 게임체인저"라며 "대한민국은 이제 추격 국가가 아니라 첨단과학 기술로 세계의 미래를 설계하고 글로벌 질서와 문명을 이끄는 선도 국가여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민간 주자의 마중물이 돼 AI 관련 예산을 선진국을 넘어서는 수준까지 증액하고자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 전 대표는 대통령 직속 기구인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고 기술자와 연구자, 투자기업, 정부의 협력을 확대하는 플랫폼으로 재구성하겠다는 구상이다. 국가 AI 데이터 직접 클러스트 조성과 함께 국제협력 강화도 제안했다.
이 전 대표는 "AI 핵심 자산인 GPU를 최소 5만 개 이상 확보하고, AI 전용 NPU 개발과 실증을 적극 지원해 기술 주권을 확보하겠다"며 "국제 협력으로 글로벌 AI 이니셔티브를 확보하겠다. AI 초성장 사회로의 도약에는 글로벌 협력 체계가 절실하다"라고 설명했다.
이 전 대표는 글로벌 AI 공동투자기금을 조성하고 협력국 간 공용으로 사용가능한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그는 "태평양, 인도, 중동 국가까지 협력이 확대돼 다국적 데이터 활용이 가능해진다면 디지털 인구가 10억 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며 "K이니셔티브에 걸맞은 K-AI를 주도할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AI 인재 양성도 국가 책임으로 명시하고, AI를 위한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교육을 강화하는 한편 지역 거점대학에 AI 단과대학을 설립하고 석박사급 전문 인력을 적극 양성하겠다고도 했다. AI 분야 우수 인재에 대한 병역 특례와 함께 해외 인재 유치 및 AI 특구도 강조했다.
AI 규제도 전면 재점검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는 "우리 기업이 기술을 개발하고 제대로 투자받기도 전에 불합리한 AI 규제로 위축된 바는 없는지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며 "기업이 불필요한 규제에 시달리지 않고 온전히 기술 개발에 몰두할 수 있도록 AI 관련 규제를 합리화하겠다"라고 전했다.
그는 "AI 산업융합을 주도하겠다. 국민 모두가 선진국 수준의 AI를 무료로 활용할 수 있게 '모두의 AI'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며 "이른바 한국형 챗-GPT를 전 국민이 사용하게 된다면 순식간에 수많은 데이터를 쌓을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는 다른 산업과의 융합으로 생산성 혁신으로, 때로는 신산업 창출로 이어져 결국 국가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AI로 금융․건강․식량․재난 리스크를 분석하여 국민의 삶을 지키는 'AI 기본사회'를 만들겠다"라고 했다.
sejungkim@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