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국회=김수민 기자] 국민의힘이 본격적인 대통령 선거 준비에 돌입했다. 경선 룰과 선거 전략의 방향키를 쥔 선거관리위원회 구성도 마쳤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1강 체제인 진보 진영과 달리 다양한 후보들의 경쟁으로 경선 흥행을 기대하고 있다. '반이재명 정서'를 토대로 보수 진영 대선주자들의 장점을 부각하는 전략도 거론된다.
보수 잠룡들이 난립하는 상황에서 현행 경선 룰을 두고도 신경전이 시작됐지만 일정이 촉박한 점을 고려했을 때 경선 규칙 변경은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국민의힘은 7일 국회에서 비상대책위원회의를 열고 선관위 구성안을 발표했다. 위원장은 5선 국회의원을 지낸 보수진영 원로인 황우여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맡기로 했다. 당에서 오래 봉사했을 뿐 아니라 최근 비대위원장을 역임해 당 내부 사정도 잘 알고 있어 경선 관리를 공정하게 할 수 있는 적임자라는 판단에서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황 위원장 임명 배경에 대해 "당대표와 비대위원장을 역임해서 선거 경험이 풍부하고 당무도 잘 아신다"라며 "경선 관리는 후보자들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것을 조정하고 단호히 결정해야 하는데 그 부분을 모두 겸비한 분"이라고 설명했다.
부위원장엔 이양수 사무총장을 내정했다. 선관위원으로는 조은희·이상휘·조지연·박준태 의원과 전주혜 전 의원, 호준석 대변인, 김채수 당 중앙대학생위원장, 이소희 전 혁신위원, 박건희 당 미디어국 과장 등이 참여한다.
당 선관위는 오는 9일 오전 10시 국회에서 1차 회의를 열고 대선후보 경선 관련 일정을 논의할 예정이다. 회의 이후 예비경선(컷오프) 방식과 일정 등을 발표할 겻으로 보인다.
보수 진영 잠룡들이 하나둘씩 출마 의사를 밝히면서 경선 룰 변경 여부도 관전 요소다. 국민의힘 당헌 69조 2항에 따르면 현행 경선 룰은 '당원 투표 50%·국민 여론조사 50%' 구조이다. 반영되는 비율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당심이 선택한 후보가 될 수도, 민심이 선택한 후보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국민의힘은 지난 20대 대선 당시 1·2차 컷오프를 거쳐 후보를 4명으로 줄인 후 본경선을 통해 최종 후보를 선출했다. 1차 컷오프는 여론조사 80%·당원 투표 20%를 적용했고, 2차는 여론조사 70%·당원 투표 30%를 적용했다.
이후 본경선은 여론조사 50%·당원투표 50%를 반영했다. 이번에도 비슷한 룰로 갈 가능성이 크다. 당 관계자는 이날 <더팩트>에 "정해지지 않았지만 통상 4명으로 간다"라며 "시간이 빠듯하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100% 일반 국민 여론조사로 후보를 선출하자는 목소리도 나온다. 잠재적 대선 주자인 유승민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저는 완전 국민경선을 요구한다. 민심이 원하는 대선 후보, '국민 후보'만이 이재명을 이길 수 있다"며 당 지도부와 선관위에 완전 국민경선을 도입하자고 촉구했다.
국민의힘은 이미 '이재명 대세론'이 형성된 민주당과 달리 후보들의 치열한 경쟁을 통해 국민들의 관심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현재 보수 진영에는 일방적으로 선두에 달리는 후보가 없기 때문에 국민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다는 판단이다.
그 과정에서 '반이재명' 정서를 활용하는 데 당 전략이 맞춰질 가능성이 크다. 당의 한 핵심 관계자는 "전략을 구사할 충분한 시간이 없다"라며 "우리는 '우리 당의 후보가 이 대표보다 깨끗하지 않느냐'라는 전략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했다.
sum@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