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국회=김수민 기자] 국민의힘 중진 의원들이 6일 한자리에 모여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조기대선 정국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구체적으로 상실감이 큰 지지층을 다독임과 동시에 중도층의 마음을 돌려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 대선 태스크포스(TF)를 신속하게 가동하는 등 어떻게 하면 어려운 상황을 탈피해 대선 국면으로의 전환을 이뤄낼 수 있을지 논의했다.
국민의힘 4선 이상 의원 15명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간담회를 열었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간담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탄핵 사태 이후 첫 중진 회의였기 때문에 오늘 주신 말씀들은 상상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나왔다. 여러 다양한 방식과 의견이 나와서 속도감 있게 논의해보자(고 했다)"고 밝혔다.
신 수석대변인은 "상실감이 큰 지지층을 다독이고 위로하고 같이 모시고 가는 길과 대선을 위해서는 중도층의 마음을 돌려서 확장해야 한다 등 여러가지 이야기가 있었다"라며 "대선 TF를 빨리 가동해서 준비해야 한다는 말씀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당 지도부 거취 문제에 대해선 이어지는 의원총회에서 결론을 내리기로 했다. 신 수석대변인은 "그제 의총에서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도부 거취 문제를 당에 일임하겠다고 선언했다"며 "의총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지 않았고 여전히 남아 있는 상황이라 아마 의총에서 마무리하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이어 "이번 지도부는 중립관리형으로 돼 있었고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둔 지도부였다"라며 "당 전반적인 분위기가 책임론보다는 국민에게 성찰하는 모습을 보이기 위한 방편 중 하나로 (지도부 문제가) 나오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윤 전 대통령 파면이 결정된 4일을 국경일인 '민주주의 기념일'로 제정하자고 한 김상욱 의원을 두고 당 일각에서 탈당과 징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와 관련해서는 여러 의견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신 수석대변인은 "대화를 들어보자는 말씀이 있었고, 김 의원의 발언이 수위를 넘어간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다"라며 "여러 말씀이 있어서 결론을 내리긴 어렵다"고 했다.
일각에서 국민의힘이 이번 대선에 후보를 내면 안 된다고 주장하는 데 대해선 "탄핵이 엄중한 사태이기는 하지만 공당이 대선 후보를 낼지 안 낼지는 별개 문제이고 그런 논의는 일체 없었다"고 선을 그었다.
윤 전 대통령의 탈당·출당 여부와 관련해 구체적 논의는 없었다고 한다. 윤 전 대통령의 메시지와 관련해서도 "그 말씀도 없었다. 대통령 관련 부분은 대통령에게 맡기는 (것이) 큰 의견 (이었다)"고 말했다.
권영세·권성동·김기현·안철수·박덕흠·이종배·김도읍·윤영석·김상훈·윤재옥·나경원·조배숙·주호영·조경태 등 국민의힘 소속 4선 이상 중진들이 이날 회의에 참석했다.
같은 시각 당 3선 의원들도 별도로 모여 자신들이 조기대선 국면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할지 논의했다.
김성원 의원은 이날 회동 이후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지역 민심을 듣고 앞으로 3선들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할지에 대해 다양하게 논의하는 자리였다"며 "앞으로 조기대선에서 3선의 역할을 무엇으로 가져갈 것인지, 조기대선 승리를 위한 전제조건은 무엇이고 무슨 일을 해야할지 다양하게 의견을 나눴다"고 설명했다.
당 지도부 거취와 김 의원 징계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고 한다.
김석기·김성원·김정재·김희정·성일종·송석준·송언석·신성범·윤한홍·이만희·이양수·임이자·이철규·정점식·추경호 등 당 3선 의원 15명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3시부터 1시간 정도 회동을 진행했다.
sum@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