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국회=김수민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 국민의힘 주류는 친윤(친윤석열)계가 차지했다. 과정에서 윤 대통령을 비롯해 강성 지지층과 밀접한 관계를 이어 온 친윤계는 탄핵심판 선고 직전까지도 그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윤 대통령의 탄핵이 인용될 경우 더욱 각성한 강성 지지층의 결집을 발판 삼아 친윤계가 강한 영향력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반면 조기대선 국면에 들어서면 이들의 목소리가 힘을 잃는 것은 시간 문제라는 분석도 있다.
국민의힘 차기 당권주자들은 윤 대통령 탄핵 기각·각하를 외치며 탄원서 제출과 기자회견 등을 통한 막판 여론전을 이어가고 있다. 윤상현 의원은 2일 김세의 가로세로연구소 대표, 오상종 자유대한호국단 단장과 함께 178만1768명의 서명이 담긴 '윤 대통령 탄핵 반대' 탄원서를 헌법재판소 민원실에 제출했다.
윤 의원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은 탄핵소추 사유에서 내란죄를 철회하면서 동일성이 상실됐고, 재소추안에 대한 국회의 재의결 절차도 거치지 않은 명백한 사기탄핵"이라며 "헌재가 법리에 입각해 이를 기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헌재는 대통령 측 변호인의 방어권을 심각하게 침해했고, 다수의 헌법재판소법을 위반했다"며 "헌법과 법률이 정한 적법절차를 준수하여 공정한 판단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경원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헌재가 사실상 내란선동에 가까운 야당의 떼법식 탄핵을 인용하면 이는 앞으로 어떤 정부든 다수야당의 정치공세에 언제든 국정이 마비될 수 있다는 끔찍한 선례를 남기는 것"이라며 "이는 법치주의가 아니라 떼법주의 승리이며 헌법 질서 붕괴를 의미한다"고 밝혔다.
나 의원은 "탄핵소추 과정에서 절차적 정당성, 소추사유의 실체적 진실성, 무엇보다 탄핵 인용이 가져올 파국적인 국익침해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기현 의원도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탄핵반대당협위원장모임(반탄모)의 윤 대통령 탄핵 기각을 촉구하는 마지막 총집결 집회에 참석해 참석자들과 함께 '대통령 복귀'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쳤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이어진 윤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 친윤계가 당내 주류로 자리잡았다. '원조 친윤'으로 분류되는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 투톱 체제가 당을 이끌었고, 윤 대통령을 비판하는 당내 목소리보다 윤 대통령을 엄호하는 의원들의 목소리에 힘이 실렸다.
특히 윤상현·나경원·김기현 의원은 극우 세력이 주도하는 장외 집회에 적극적으로 참석하며 '아스팔트 정치'에 집중하는 대표적 인물들이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탄핵 정국에서 줄곧 윤 대통령과 밀착하며 강성 지지층의 결집을 이끌어냈다.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한다거나 윤 대통령을 지지하는 집회 현장에는 이들이 있었다.
이를 두고 차후 당권 도전을 위해 강성 지지층 중심으로 지지 세력을 미리 다지기 위한 행보라는 해석이 우세하다. 만약 윤 대통령의 탄핵이 인용되더라도 헌재 판결에 반발하고 더욱 결집할 강성 지지층의 지지를 토대로 조기대선 과정에까지 친윤 중심으로 주류가 형성돼 당권을 쥐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상일 정치평론가는 이날 <더팩트>와의 통화에서 "대통령이 승복 의지를 밝히지 않은 상황에서 탄핵이 만약 인용된다면 거리에 나와 있는 지지자들은 지금의 분위기와 분노를 계속 이어 나갈 것이고 친윤의 목소리가 더 클 수밖에 없다"라며 "이들의 이익은 정권 승리보다 강성 지지층의 유지에서 오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반대로 조기대선에 돌입하게 된다면 결국 중요한 것은 중도층의 지지를 얻어 정권을 재창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친윤 세력의 무력화 가능성도 제기된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당이 윤 대통령, 강성 지지층과 거리를 두는 것은 시간문제이지 결국 조금씩 멀어지는 것을 택할 것"이라며 "중도층에 어떤 행보가 소구력이 있고, 대선에서 승산이 있는지 생각한다면 그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sum@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