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국회=서다빈 기자] 여야 국정협의회가 연금개혁 문제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파행됐다.
여야 원내지도부는 10일 오후 국회에서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로 열린 3차 국정협의회에 참석했지만 30분 만에 결렬됐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국회의장실을 빠져나오며 "아무런 소득이 없다"며 "회담 결렬"이라고 말했다.
박형수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국정협의회 후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이) 연금개혁과 관련해 소득대체율 43%를 받는걸 전제로 당 내 의견을 모으겠다고 했는데 오늘 와서 받을 수 없다고 한다"며 "입장을 원점으로 돌렸기 때문에 더 이상 논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힘의 연금개혁안인 소득대체율 43%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재차 밝혔다.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자동조정장치가 없을 때도 43%냐 44%냐를 두고 의견 조절이 안 됐는데 국민의힘의 제안은 처음으로 돌아간 것"이라며 "민주당은 44%를 고수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우리의 주장은 자동조정장치 없는 소득대체율 44%여야 한다는 것"이라며 "국민의힘의 43% 제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기 어렵다는 뜻을 전했다"고 설명했다.
추경(추가경정예산) 편성에 대해선 일부 진전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국정협의회가 파행되면서 추경의 구체적 시기, 규모를 결정할 실무협의회가 개최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박 원내수석은 "추경 편성은 하기로 하고 정부가 참여하는 실무협의회를 개최해 각 당 정책위의장, 예결위 간사 등을 참여시켜 논의하기로 했다"면서도 "추경에 대한 부분도 논의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가야 할 길이 아직 멀다"며 "(연금개혁 이견이) 추경안을 논의하기 위한 실무 협의에 영향을 미칠지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회동에는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와 김상훈 정책위의장, 박형수 원내수석부대표가 민주당에서는 박찬대 원내대표와 진성준 정책위의장,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가 참석했다.
bongouss@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