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황준익 기자] 제106주년 3·1절 기념식이 1일 거행됐다. '그날의 하나된 외침, 오늘의 하나된 대한민국'을 주제로 서울 중구 숭의여자대학교에서 열린 행사에는 독립유공자 유족, 국가 주요 인사, 주한외교단, 사회 각계 대표, 시민, 학생 등 1200여명이 함께했다.
기념식은 오프닝 영상을 시작으로 국민의례, 독립선언서 낭독, 주제 영상 상영, 기념사, 기념공연, 3·1절 노래 제창, 만세삼창 등으로 진행됐다.
주제 영상은 독립을 위한 선열들의 숭고한 희생과 3·1운동의 의미를 되새기고 선열들의 정신을 이어받아 세계 선도국가로 우뚝 선 대한민국의 위상을 계속해서 이어 가자는 희망과 화합의 메시지를 담았다. 숭의여고 출신 김미숙 배우가 국기에 대한 맹세문을, 독립선언서는 각계각층의 당시 사람들로 분한 배우들과 이종찬 광복회장이 낭독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일 기념사에서 "3·1운동의 중요한 가르침은 바로 우리 민족이 대의를 위해 하나가 되었던 통합의 정신"이라고 강조했다.
최 대행은 "지금 우리 사회 곳곳에서는 갈등과 분열의 그늘이 더욱 짙어지고 있다"며 "우리 앞에 놓여있는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 세대가 자랑스러워할 조국을 만들기 위해 지금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국민통합"이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우리 모두는 국내외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통합을 실천하는 데 온 힘을 다해야 한다"며 "먼저 자유민주주의를 한층 더 성숙시켜야 한다. 법과 원칙이 바로 선 가운데 관용과 협치의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5 하얼빈동계아시안게임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 금메달리스트 차준환 선수, 독립운동가 후손, 미래 세대 대표 등은 다짐 멘트를 통해 3.1운동의 숭고한 정신을 되새긴 후 참석자 모두가 함께 뜻을 모아 만세삼창을 외쳤다.
3·1절을 맞아 총 96명이 독립유공자 포상대상자로 선정됐다. 기념식장에서는 독립유공자 고(故) 오창근 님의 후손 등 독립유공자 후손 5명에게 애족장, 건국포장 등이 수여됐다.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재외공관에서도 3·1절 관련 다양한 기념행사가 진행된다. 문화체육관광부, 국가보훈부 등에서는 3·1절 기념 문화행사 등을 개최하며 지방자치단체 등의 자체 기념식, 타종행사, 만세운동 재현행사 등에 총 12만여명이 참여한다.
plusik@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