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동현 기자] 외교부는 한미 양국 정부가 '한반도 비핵화'가 아닌 '북한 비핵화' 표현을 사용하기로 한 것에 대해 "북한의 의무 위반과 이행 필요성을 명확히 하는 표현"이라고 밝혔다.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2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불법적으로 핵무기를 개발하고 있는 것은 북한"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동안 한미 양국은 한국의 비핵화를 전제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 비핵화라는 표현을 함께 사용했다. 이번에 용어를 통일해 의미를 명확히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변인은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비핵화 모두 북한의 비핵화를 의미한다"며 "유엔(UN) 안보리(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상 포함된 문구도 '북한이 모든 핵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으로 포기해야 한다'고 기술돼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조현동 주미대사는 2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특파원단 간담회를 통해 "비핵화 표현과 관련해 이전 (미국) 행정부에서는 표현이 혼용돼 온 측면이 있었는데, 트럼프 행정부 출범 직후 미국 측과 협의해 북한 비핵화를 일관되게 사용하기로 했다"고 알렸다.
이 대변인은 최근 다이빙 주한중국대사가 국내 반중(反中) 시위 등에 대해 우려를 표한 것에 대해서는 "양국 국민 간 상호 우호 감정이 악화해 한중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잘 관리해야 한다는 데 대해선 양국 정부 간에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며 "외교부는 우리 사회 일부의 중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한중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고, 이를 위해 중국 측과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koiflag@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