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국회=김세정 기자]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 종결로 조기 대선이 가시화되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내 비명계(비이재명계) 인사들이 이재명 대표에게 연일 통합을 주문하고 나섰다.
이들 중 일부는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까지도 포용의 대상으로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 대표와 이 상임고문 사이 감정의 골이 깊어져 수용되긴 어렵다는 지적이다. 이 상임고문의 정치적 영향력이 낮아진 점을 고려한다면 설득력이 떨어지는 주장이라는 게 대체적 시선이다.
야권 잠룡으로 꼽히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지난 24일 광주를 찾아 정권교체를 위한 통합을 강조했다. 그는 "탄핵에 찬성하는, 그리고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지키겠다고 생각하고 동의하는 정치세력은 누구든지 함께 해야 한다"며 지난해 민주당을 탈당한 이 상임고문을 언급했다. 김 전 지사는 "지금은 이 상임고문을 포함해 야권에 계신 분들이 모두가 힘을 모을 수 있는 통합의 언어, 화합의 언어가(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비명횡사'의 대표적 인물로 거론되는 박용진 전 의원도 이 상임고문에 대한 포용 필요성을 언급했다. 지난 24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한 박 전 의원은 '이 대표의 통합 행보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는데 통합 대상에 당을 나간 이 상임고문도 포함되나'라는 진행자의 질문에 "저는 그렇게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라고 답했다.
박 전 의원은 이 상임고문을 향해서도 "내란심판과 정권교체라고 하는 대의명분의 큰 틀에서 함께 해주시면 좋겠다"며 "말이 자꾸 사나워지고 서로 공격적으로 가던데 민주당한테, 국민들한테 큰 사랑을 받고 기회를 얻었던 정치인이시니까 돌려주셔야 된다"라고 당부했다. 이어 "이준석, 유승민, 안철수도 당겨와야 될 판에, 내란추종 세력들과의 줄다리기인데 같이 줄을 잡아당겨서 했으면 좋겠다"라고 했다.
민주당 안에선 이 상임고문까지 포용해야 한다는 비명계의 주장이 큰 힘을 얻진 못하고 있다. 이 대표와 이 상임고문과의 감정적 골이 깊고, 정치적 셈법에 있어서도 이 대표가 이 상임고문에게 손을 내민다면 얻을 실익이 없다는 점이 결정적 이유다.
이 대표는이 상임고문을 향해 별다른 메시지를 내놓고 있진 않지만, 이 상임고문과 새미래민주당은 연일 이 대표를 겨냥한 날 선 비판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이 대표와 윤석열 대통령의 '동반 청산론'을 주장하고 있어 사실상 완전한 결별을 공식화한 상태다.
이 상임고문은 26일 MBN '나는 정치인이다'에 출연해 "사법리스크를 해결하지 못한 상태로 대통령이 되려 한다면 이는 개인의 리스크를 넘어 국가의 리스크로 번질 것"이라며 "재판이 중지된다면 작은 실수로도 처벌받아 온 국민들이 바보가 된다. 법치주의가 무너지는 것"이라고 이 대표를 겨냥했다.
새미래민주당 관계자는 <더팩트>와의 통화에서 "이 상임고문이 '윤석열·이재명 동반 청산'이 시대정신이라고 말한 것처럼 이 대표가 또다시 대선에 나오면 필패라는 게 우리 당의 확고한 입장"이라며 통합론에 선을 그었다. 그는 "리스크를 가진 후보를 내지 않는다면 (우리 당도 정권교체에) 힘을 합치지 않을 이유가 없다"라고 잘라 말했다.
이 상임고문의 정치적 영향력이 예전만 못하다는 점도 포용론의 힘을 떨어뜨리는 부분이다. 이 상임고문은 지난해 총선에서 새로운미래당 후보로 광주 광산을에 출마했으나 13.84% 득표에 그치며 민형배 의원에게 패배했다. 기존 민주당 지지층의 선택을 받지 못했다는 점에서 상징적 의미가 크다.
아울러 지난 총선 과정에서 비명계 상당수가 민주당 공천에서 탈락하며 민주진영에서의 존재감도 크게 줄어든 상태다. 친명계 한 인사는 "(이 상임고문은 이제) 민주당 인사가 아니고 당 밖의 사람인데 통합을 얘기하는 건 어렵다"라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선 비명계가 명확한 대안 없이 무조건적인 통합론만 내세운다는 의견도 나온다. 실제 통합을 위한 전략이라기보다는 명분 쌓기용에 가깝다는 것이다. 당 한 관계자는 "대표가 생각이 유연하긴 하지만 (이 상임고문 측이) 전제 조건을 사퇴로 내세우는데 대화가 서로 안 되지 않겠나"라며 설득력이 없다고 지적했다.
최수영 정치평론가는 통화에서 "(이낙연 포용 주장은) 현실성은 없다고 봐야 한다"며 "이 대표가 받기 어려운 카드를 던져 통합에 대한 의지를 보이라는 것 같다. 일종의 리트머스 시험지같이 활용하겠다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sejungkim@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