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국회=김세정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중도보수 정당' 발언으로 정치권이 뜨겁다.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중도 확장을 노린 것으로 국민의힘을 고립하려는 전략이기도 하다. 비명계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통할지는 미지수다. 친명계는 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 문재인 전 대통령의 과거 발언을 소환하며 진화에 나섰는데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대표 발언에 여러 의견이 나오고 있다. 앞서 지난 18일 유튜브 채널 '새날'에 출연한 이 대표는 "앞으로 대한민국은 민주당이 중도보수 정권, 오른쪽을 맡아야 한다"며 "(민주당은) 중도보수 정도의 포지션을 실제 갖고 있고, 진보 진영은 새롭게 구축해야 한다"라고 언급했다. 19일에도 이 대표는 " 민주당은 원래 성장을 중시하는 중도보수 정당"이라며 "우리는 원래 진보 정당이 아니다"라고 못 박았다.
정치권에선 이 대표의 발언이 중도 확장을 위한 전략이라고 해석한다. '중도보수 정당'이라고 콕 집어 밝힌 것은 탄핵 정국에서 갈 곳을 잃은 약한 보수 지지층을 민주당으로 끌어들이겠다는 의도다. 진보진영에서 자신을 위협하거나 지지를 뺏어갈 주자가 없다는 판단 역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최수영 정치평론가는 <더팩트>와의 통화에서 "조기 대선은 확실해 보이고, 과거에는 정의당 등 야권에 여러 맹주가 있어서 신경을 안 쓸 수 없었지만 이제는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도 수감됐고) 무주공산 아니겠나"라며 "야권을 완전히 점유했으니 국민의힘을 극으로 몰자는 전략이다. 국민의힘 고립 작전이라고 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의도와 달리 이 대표의 발언에 당 내부에는 노선 투쟁으로 번진 모습이다. 비명계를 중심으로 이 대표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SNS를 통해 "민주당의 정체성을 하루아침에 바꿀 수는 없다"고 했다. 김두관 전 의원은 "대통령이 되고픈 욕심에 자신의 근본 뿌리마저 망각해서는 안 된다"라고 이 대표를 겨냥했다.
현역 의원들 사이에서도 쓴소리가 나왔다. 5선 이인영 의원은 "이 대표의 말이 충격"이라며 "민주당 역사는 진보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정치적 투쟁의 축적"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고민정 의원도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중도개혁 정도까지는 받아들여지는데 우리가 보수 그리고 그렇게 해야 한다는 부분은 사실은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라고 했다.
반면 친명계와 당은 이 대표를 엄호하고 있다. 강유정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보수 중도우파 혹은 중도보수라는 얘기는 민주당의 전통에서 없었던 것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1997년 11월 방송3사 대선후보 초청 토론회 때 "우리 당은 중도우파 정당이다. 자유시장경제를 지지하기 때문에 우파이고, 서민의 이익을 대변하기 때문에 중도"라는 김 전 대통령의 말이나 문 전 대통령이 새정치민주연합을 이끌던 2015년 8월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우리의 특수한 지형에서 새누리당과 대비해서 진보라는 소리를 약간 듣지만 당의 정체성으로는 그냥 보수 정당"이라고 밝힌 것을 거론하면서 이 대표의 발언 역시 문제 될 것이 없다는 주장이다.
친명계 좌장으로 꼽히는 정성호 의원도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김 전 대통령께서 대선 출마하기 전에 우리 당은 중도우파 정당이라고 얘기한 적이 있다"며 "자유시장경제를 우리가 지지하고 옹호하기 때문에 우파이고, 서민을 위한 서민의 이익을 대변하는 정당이기 때문에 중도정당이라고 얘기했다. 그 입장이 지금까지 오고 있다"라고 밝혔다.
논쟁이 불붙으며 대선을 앞두고 당내 갈등이 격화되는 점은 이 대표로선 부담이다. 최 평론가는 통화에서 "서민과 중산층을 위한 당이라는 게 강령인데 한 사람의 의견으로 이를 바꾼다면 대선을 위한 장사로 보여질 수 있다"며 "집권하더라도 정체성 논란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당내에서도 반명 결집의 명분을 줄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대표 한 사람이 당의 정체성을 규정한 것이 일극체제의 단면을 부각할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SNS 글을 통해 "유구한 역사를 가진 우리 민주당의 정체성을 혼자 규정하는 것은 월권"이라고 이 대표를 비판했다.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우리 당은 스펙트럼이 생각보다 넓어서 각자 갖고 있는 정치·이념·정책적 소신이 다양하다"며 "과거에 이랬는지 저랬는지, 용서를 하느니 마느니 같은 논박보다 오히려 정체성이나 정책 노선을 갖고 논쟁하는 게 훨씬 바람직하다"라고 밝혔다.
sejungkim@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