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국회=김수민 기자] 윤석열 대통령 측의 완강한 부인에도 '자진 하야설'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국민의힘도 '옳은 방법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그러나 여권에 현저히 불리한 조기대선 정국에서 반전을 기대해 볼 만한 마지막 전략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일각에서 나온다. 강성 지지층의 결집을 강화할 뿐 아니라 중도층에게도 소구력 있는 메시지를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 측은 하야설에 재차 선을 그었다. 윤 대통령의 변호인 석동현 변호사는 19일 기자들과 만나 "야당 일각에서 거론한 대통령의 조기 하야와 같은 주장은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밝혔다.
어떤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결과가 나오더라도 승복하겠다고도 했다. 석 변호사는 "승복을 안 하든가, 못하는 경우는 생각할 수 없다"며 "헌재 결과에 대해서 대통령이 당연히 승복할 것이다. 두말할 나위가 없는 일이다"라고 말했다.
국민의힘도 부정적 입장을 내보이고 있다. 안철수 의원은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현행법상으로 공직자가 재판 중에 사의를 표명한다고 해 그것이 받아들여지는 예는 없다. 그러니까 법적으로도 가능한 방법이 아니다"라며 "(탄핵소추 표결 전) 본인께서 하야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다 보니까 여기까지 오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도 지난 17일 윤 대통령의 하야 가능성에 대해 "그런 건 현실적으로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고, 고려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옳은 방법은 아니다"라며 "하야가 법률적·헌법적으로 가능하냐를 별개로 해도, 하야했을 경우 이런 모든 문제를 잠재울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당이 공식적으로 하야설에 방어선을 칠 뿐 아니라 법률적으로 고려했을 때 현실화될 가능성은 적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이 여권에 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조심스러운 기대감도 엿보인다.
당 관계자는 <더팩트>에 "윤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의 불의한 판단을 거부한다'라며 하야를 결정하면 강성 지지층은 고무될 것"이라며 "정권 연장 가능성을 1%라도 높이고 지금까지 주장한 '경고성 비상계엄'을 설득할 수 있는 길"이라고 말했다.
한 초선 의원은 "윤 대통령이 하야한다면 우리는 '탄핵소추를 철회하자'고 할 수 있게 된다"라며 "그렇게 되면 우리에게 조금은 유리한 지형을 만들 수 있다"고 봤다.
탄핵이 인용돼 대통령직을 상실하는 것보다 '불공정한 헌재의 판결을 거부하겠다'며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 강성 지지층의 결집을 더욱 공고화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타의가 아닌 자의적으로 책임을 지고 물러나는 이미지로 판을 바꿔볼 수도 있게 된다. 그렇게 될 경우 여권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의 사법리스크를 부각해 탄핵 정국을 돌파해 볼 여지도 생긴다.
최수영 정치평론가는 "윤 대통령이 자진해서 하야한다면 판이 완전히 뒤바뀔 것"이라며 "사람들은 이제 탄핵 정국에서 빠져나와 미래를 위한 선택을 고민할 것이다. 윤 대통령이 주장해 온 계엄 선포 이유에도 진정성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sum@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