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국회=김세정 기자] 야권 잠룡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더불어민주당이 국민들의 압도적 지지를 받지 못하는 건 사실"이라며 "해결을 위한 노력에 힘을 보태겠다"라고 18일 밝혔다.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행정수도 세종 이전의 추진방안과 과제' 토론회에 참석한 김 전 지사는 '이재명 대표의 비호감도가 높아 민주당이 중도층 지지를 못 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라는 기자들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김 전 지사는 "민주당이 (국민 지지를 받기 위한) 이런 노력을 계속해나간다면 말씀하신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거로 생각한다"라고 강조했다.
야권 잠룡들의 활동 계획을 묻는 말에는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이후에 공식화하는 것이 맞다"라고 김 전 지사는 답했다.
김 전 지사는 "국민들이 다들 불안해하지 않나"라며 "미래를 위한 준비도 함께해야 하지만 지금은 탄핵에 모든 것을 집중하는 게 맞다 생각한다"라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문재인 정부가 국민의힘 유승민 전 의원 등에게 입각을 제안했다고 밝혔다가 당사자들이 반발한 데 대해선 사과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 당시에 야당 정치인들에 대한 입각을 추진하기 위한 논의들이 꽤 많이 있었고, 논의 끝에 적지 않은 분들에게 실제 제안이 이뤄졌다"며 "유 전 의원과 심상정 전 정의당 의원도 검토가 됐는데 마지막에 제안은 직접 하지 않았던 것 같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검토와 제안이 함께 있었는데 (반발한 분들에 대해선) 검토만 있었고 직접 제안에 이르지 못했는데 구분해서 말씀드리지 못했던 것에 대해 정중하게 사과드린다"라고 했다.
이어 김 전 지사는 "당시 이런 제안은 문재인 정부가 야당과의 협치를 새로운 차원으로 한 단계 끌어올려 보겠다는 취지로 추진하긴 했지만 이런 방식으로는 연대·협력의 정치가 어렵다는 것이 결론적으로 판명 난 것으로 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날 김 전 지사가 참석한 토론회는 행정수도를 세종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김 전 지사는 "실제 용산으로 다시 들어갈 수도 없고 그렇다고 완전히 개방된 청와대를 다시 사용하기에도 여러 보안과 경호상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대통령실을 어디로 갈 것인지 정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행정수도와 관련된 제도적 문제를 해결하고 대통령실을 세종으로 이전하는 것이 현실적 방안이 아닌가 하는 차원에서 참석하게 됐다"라고 설명했다.
개헌 문제와 관련해 김 전 지사는 "이번 대선에서 추진해야 할 첫 개헌 과제는 계엄을 불가능하게 하는 개헌이다. 행정수도 관련 부분도 개헌 사항"이라며 "지방분권을 실시하기 위해서도 지방자치단체를 지방정부로 바꾸는 그런 개헌이 함께 따라줘야 된다"라고 말했다.
sejungkim@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