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국회=김수민 기자]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가 13일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 제명·출당 여부를 더 이상 검토하지 않기로 했다. 직전 윤리위에서 이미 종결된 사안이라는 취지다.
여상원 윤리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회의를 마친 이후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 징계 절차와 관련해 "이전 윤리위에서 했기 때문에 그 부분에는 관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앞서 윤리위는 지난해 12월 12일 한동훈 전 대표의 지시에 따라 윤 대통령 제명·출당 등 징계 절차 개시에 대해 심의했다. 한동훈 지도부 당시 윤리위가 해당 안건에 대해 종결했다고 보고, 권영세 비대위 체제에서는 윤 대통령에 대한 징계 절차를 다시 논의할 계획이 없다는 게 여 위원장의 설명이다.
여 위원장은 "(지난 윤리위에서) 종결됐기 때문에 다시 징계 요구가 있으면 그때 가서 결정하겠지만 기왕에 개시된 징계에 대해서는 이미 종결됐기 때문에 저희로선 하지 않는다"고 했다. 다만 '징계 절차를 하지 않기로 종결이 난 것인가'라는 질문엔 "그것은 모른다"라며 "전 위원회의 결정사항"이라고만 답했다.
이날 윤리위 회의에서는 현역 국회의원 1명과 구청장 1명 등에 대한 징계 문제를 논의했다. 추가 의결 절차를 통해 양측의 증거 및 소명을 들은 후 최종적으로 징계 수준을 결정할 방침이다.
여 위원장은 "정책이나 의사 표현에 관한 것"이라며 "저희로서는 의사 표현의 자유와 당의 정체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쉽게 결정 내릴 수 있는 사안이 아니었다"라고 말했다.
다만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표결 당시 당론을 어긴 안철수·김상욱 의원에 대한 징계 심의 여부는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여 위원장은 이날 회의에 대해 "윤리위원은 가능하면 중립성과 공정성을 지켜야 하기 때문에 정치적 편향을 드러내면 안 된다"라며 "오늘 윤리위원들 대부분 인사 정도 나눴다"라고 부연했다.
sum@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