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국회=서다빈 기자] 김진표 전 국회의장과 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개헌 논의를 위해 여야 간의 초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전 의장은 3일 오전 여의도 한 음식점에서 열린 전 국회의장·국무총리·당대표들로 구성된 '나라를 걱정하는 원로모임' 제3차 간담회에 참석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힘을 모으든 여야 정치권 지도부가 중심이 되든 여야정 협의체가 실질적으로 작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개헌이 현실적으로 실현되려면 정치권이 여야정 협의체를 통해 국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는 신뢰를 국민에게 줘야 한다"며 "탄핵 찬반에만 매몰되면 개헌은 물 건너간다"고 강조했다.
야권 잠룡으로 거론되는 김 전 총리도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집단적인 목소리가 필요한 시점이 왔다고 강조했다.
김 전 총리는 "국회를 중심으로 여야 정치권뿐만 아니라 민간 대표자까지 참여시켜 민생 경제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며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다음 정부도 책임 있게 (개헌 등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금이야말로 집단적인 목소리가 절실한 시점"이라면서 "현재의 헌법은 국민소득 3만5000불 시대에 맞지 않다. 3만5000불 대국에 어울리는 개헌이 간절히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정대철 헌정회장은 개헌 논의를 위한 여야정 협의체 구성을 두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설득하는 과정에서 난항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정 헌정회장은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 대표와 가까운 정동영 의원도 만나 설득을 시도했지만 아직 답을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달 11일 이 대표에게 전화를 걸어 개헌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여야정 협의체 구성에 관한 동의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 대표에게 "개헌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만큼 앞장서서 노력해야 당과 본인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득했으나 "생각 해보겠다"는 답변 이후 20일이 지난 현재까지도 추가적인 응답을 듣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정대철 헌정회장과 김진표·김원기·박병석 전 국회의장, 김부겸·정운찬 전 국무총리, 김무성·손학규·이낙연 전 당 대표 등이 참석했다. 문희상·정세균 전 국회의장은 건강상의 이유로 불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