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국회=서다빈 기자] 개혁신당의 내홍이 심화되면서 이준석 의원과 허은아 대표 간 갈등이 극으로 치닫고 있다. 허 대표가 법적 조치를 예고하면서 추후 이 의원의 대선 가도에 리스크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천하람 원내대표가 주도한 허 대표에 대한 당원소환제 투표율은 첫날 50%를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당원소환제는 당 대표를 포함한 당직자가 당헌·당규를 위반하거나 당의 존립에 악영향을 미칠 경우, 당원 투표로 파면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천 원내대표는 이틀간 투표를 진행하고 오는 26일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천 원내대표는 20일 열린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허 대표에 대한 직무정지 안건과 당원소환 실시 안건을 의결하고 자신이 당 대표 권한을 대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허 대표는 무효라고 맞섰으며 22일에는 개혁신당 최고위원회의가 두 차례 열리는 해프닝도 발생했다.
이를 두고 허 대표는 '사적 민간 투표'라고 지적하며 원천 무효라고 반발했다. 허 대표는 투표 절차가 불법적이라고 주장하며 "으뜸 당원 여부 확인도 없이 진행된 인기투표"라고 지적했다.
반면 이 의원은 허 대표의 주장이 당원을 모욕하는 발언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현재 투표가 진행 중이고 당원들의 의사는 확고하다"며 "당원소환제에 공감한 당원들의 명예를 모욕하는 발언은 대표로서 부적절하다"고 반박했다.
당원소환제에 대한 양 측의 해석이 갈리면서 갈등은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이미 허 대표는 법적조치를 시사했다. 법률대리인을 통해 자신의 직무정지 의결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예고했다. 동시에 이 의원과 천 원내대표, 김철근 전 사무총장을 상대로 고소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개혁신당 관계자는 <더팩트>와 통화에서 "당원소환제는 법적 효력이 없고 해당 과정 속에 합법적인 게 단 하나도 없다"며 "합법적인 절차를 거쳤다면 얼마든지 인정할 수 있지만 공당은 법을 지켜야 하기 때문에 인정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반면 이 의원 측 관계자는 당원소환제의 결과가 나올 시 허 대표를 즉각 파면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 의원 측 관계자는 통화에서 "탄핵 절차와 똑같다고 보면 된다"며 "투표 결과가 나오면 사실상 허 대표는 파면"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당원들의 민주적 절차를 통해서 당 대표에 대한 재신임 여부를 묻는 절차를 거친 것"이며 "정당성이나 절차적인 부분은 다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팽팽한 갈등으로 평행선을 달리던 양 측이지만 이번 사태에 대해 언젠가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라는 것에 대해서는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 의원 측 관계자는 "내홍을 지금 매듭 풀지 않았다면 나중에 더 큰 문제로 이어질 우려가 있어 지금 정리하는 게 맞다고 본다"며 "해당 문제가 대선 국면에 돌입한 뒤까지 이어졌다면 더 큰 혼란과 악영향을 초래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허 대표의 직무 수행 문제는 갑작스럽게 제기된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누적돼 온 문제들이 수면 위로 드러난 것"이라며 "당원분들의 투표가 끝나는 대로 사태를 조속히 수습하고 가야 할 길로 나아가겠다"고 강조했다.
개혁신당 관계자는 "이번 내홍이 드러나지 않고 특정인의 사당으로 남아 있었다면 재보선이나 대선을 돌파하기 더 어려웠을 것"이라며 "이번 내홍을 통해 공당으로 거듭나게 된다면 오히려 재보선과 대선에서 더 큰 경쟁력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겠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치권은 이번 사태가 이 의원의 대선 가도에 치명적인 리스크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통화에서 "누가 옳은지 그른지를 떠나 조기 대선을 앞둔 이 의원에게는 이번 내홍 사태가 최악의 리스크가 될 수 있다"며 "이 의원의 정치적 결단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 평론가는 "국회의원 3명인데도 분란이 일어나는 정당 소속인 이 의원이 대선에 나갔을 때 과연 국민이 지지할지 의문"이라며 "대선에 나가서 국민에게 통합과 화합을 이야기할 수 있을까도 의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당이 내홍을 빠르게 마무리 짓는 게 좋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