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국회=김시형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16일 12·3 비상계엄 사태의 핵심 인물로 꼽히는 노상원 전 국군 정보사령관의 방위산업 개입 의혹을 제기했다.
민주당 12·3 윤석열내란진상조사단장을 맡고 있는 추미애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조사단 회의에서 "내란 핵심 주동자인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 노 전 사령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김용군 전 대령은 방위산업을 고리로 한 '경제공동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추 의원은 "군 내부 제보와 국방부 자료에 의하면 2022년 말에 김용현 당시 경호처장의 꼬리표 예산으로 불린 국정원 예산 500억원이 육군 UAV(무인정찰기) 예산으로 추진됐다"며 "해당 사업에 도입될 기종은 노 사령관이 최근 3년간 근무한 일광공영이 국내 총판인 이스라엘 항공우주산업의 헤론으로 결정됐다"고 말했다.
여 전 사령관의 개입도 주장했다. 추 의원은 "보통 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가 무기체계 등 전력 사업을 총괄 운영하지만 이 육군 전자전 UAV 사업담당부서는 육군 정보작전참모부가 맡았고, 당시 육군 정작부장은 이번 내란 사태로 구속 기소된 여 전 사령관이었다"고 말했다.
김 전 대령의 감사 무마 의혹도 제기했다. 추 의원은 "사업 계획 과정에서 700억원 규모 신형 UAV와 500억원 규모 구형 UAV 중 어느 것을 도입할지를 두고 갈등이 빚어지자 국방부가 감사와 조사를 진행했는데, 국방부 조사본부에서 오래 근무한 김 전 대령이 이를 무마했다는 얘기도 있다"고 전했다.
이에 "국정원 예산 500억원이 어떻게 긴급 투입됐는지, 노 전 사령관이 일광공영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여 전 사령관이 어떻게 사업을 조정했는지, 김 전 대령이 감사를 무마한 게 맞는지 수사기관의 수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rocker@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