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저 앞 모이는 의원에 "헌법기관으로서의 결정" 옹호
소신 따른 결정엔 "별개 문제"
당 주류와 다른 목소리 위축 우려
국민의힘 지도부가 개개인이 헌법기관인 당 국회의원에 대해 사안마다 다른 잣대를 들이밀고 있다. 사진은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가운데)이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는 모습. /박헌우 기자 |
[더팩트ㅣ국회=김수민 기자] 국민의힘 지도부가 개개인이 헌법기관인 당 국회의원에 대해 사안마다 다른 잣대를 들이밀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체포 저지를 위해 관저 앞에 모인 의원들에 대해 "헌법기관 일원으로서의 개별 행동"이라며 지도부 차원의 대응을 하지 않는가 하면 소신에 따라 당론과 다른 선택을 한 의원에 대해선 "헌법기관이라도 당론은 집단 지성의 결과물"이라며 탈당을 권유하면서다.
윤 대통령 2차 체포영장 집행이 임박한 상황에서 대통령을 비호하려다 보니 뚜렷한 기준 없이 그때그때 적당한 근거를 찾느라 이같은 이중잣대 논란이 생긴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런 흐름이 지속된다면 당 지도부와 다른 의견을 낸 의원들의 목소리는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우려까지 제기된다. 10일 정치권에 따르면 당 지도부는 일부 의원의 '관저행'을 "개인 행동"이라며 선을 그었다. 각 의원이 헌법기관으로서 스스로 결정한 행동이기 때문에 당이 이에 왈가왈부할 수 없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개별의원의 행동에 대해 본인들이 헌법기관 일원으로서 맞춰서 했기 때문에 제가 특별히 언급할 건 없다"고 말했다. 박수민 원내대변인도 '체포영장이 재집행되면 의원들이 현장에 가는지' 묻는 취재진에 "지난번에도 개인 행동이었기 때문에 사전 파악이 쉽지 않다"라며 "물리적 충돌 없이 차분하고 법적 권한이 확실한 공권력 집행이 돼야 한다"는 원론적 입장만 밝혔다.
지난 6일 국민의힘 의원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는 45명이 관저 앞에 모였고, 2차 집행을 앞두고 관저 앞 물리적 충돌까지 우려되는 상황에서 당 차원의 공식적 입장이 나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당내에서는 이번에도 관저 앞에 집결하겠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소속 의원들이 6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 관저 앞에 모인 취재진에게 입장을 밝히고 있는 모습./뉴시스 |
실제로 당내에서는 이번에도 관저 앞에 집결하겠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 6일 관저 집회에 참석했던 한 의원은 <더팩트>에 "지난번에 가셨던 분들은 삼삼오오 가실 생각을 하고 계신 것 같다"며 "저번보다 더 많이 갈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또 다른 경북권 의원도 "아직 잘 모르겠다"면서도 불참 입장은 밝히지 않았다.
박 원내대변인은 이같은 지적을 두고 "법적 논란이 있는 공수처 수사를 빨리 경찰로 이첩해야 한다"는 기본 입장만 되풀이했다. 또 "공수처가 (사건을) 이첩한다는 입장은 없지만 체포영장 집행에 대해 전보다 신중해지고 숙고하는 데 안도감을 느끼고 있다"며 "동일하게 의원들도 그에 반응해 움직일 거라고 생각하고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의원들도 다르게 판단하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부연했다.
각각 헌법기관인 의원의 행동에 말을 아끼던 당 지도부는 쌍특검법(내란·김건희 여사 특검법)에 찬성 표결한 김상욱 의원에게는 공개적으로 탈당을 권유하는 모순된 모습을 보였다. 권 원내대표는 지난 8일 쌍특검법 재표결 이후 기자들과 만나 "당론과 반대되는 행위를 한 김 의원에게 '당론과 함께하기 어려우면 같은 당을 할 수 없는 것 아니겠나. 탈당을 진지하게 고려해 봐라'라고 권유했다"고 밝혔다.
당 지도부가 헌법에 보장된 국회의원의 '양심에 따른 투표 자유'보다 당론을 우선시하고, 이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모양새가 되면서 논란은 커졌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전날 기자들과 만나 "헌법기관으로서 양심에 맞게 표결한다는 것과 당의 기본적인 룰을 전혀 안 따르겠다는 건 별개의 문제"라고 해명했다.
친윤(친윤석열)계가 당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와 다른 의견을 제시하는 게 점점 더 힘들어질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온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당내 주류인 친윤계의 움직임에 공개적인 반발은 거의 불가능한 상태"라며 "반발하는 순간 조기 대선을 가정했을 때 선거가 끝나고 나면 혁신 대상이 될 우려 때문"이라고 말했다.
sum@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