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철영 기자] 김현태(대령) 특전사 제707특수임무단의 지휘관은 9일 12.3 비상계엄 당시 곽수근 특수전사령관(중장)으로 "국회의원이 150명이 넘으면 안 된다"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다. 국회가 지난 4일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표결하지 못하도록 막기 위함이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김현태 특수전사령부 제707특임단장(대령)은 이날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4일 새벽 0시 30분쯤 특수전)사령관이 '국회의원이 모이고 있단다. 150명이 넘어서는 안 된단다. 안에 들어가서 끌어낼 수 있겠느냐'고 했다"고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707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 이용당한 피해자"라고 주장했다.
그는 "저는 '전혀 안 된다'고 했다"며 "사령관은 (국회의원들을)끌어내라는 뉘앙스로 이야기했으나, (본회의장 안에)들어가지 못했기 때문에 끌어낼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김 단장은 특히 상관으로부터 "국회의사당과 국회의원회관을 봉쇄하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아울러 김 단장은 국회에 군 진입 당시 실탄 소지와 관련한 당시 상황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당시 상황을 훈련으로 생각했다고 한다. 김 단장은 "전날 훈련계획을 세우면서 무기를 사용하지 않고 테이저건, 방패로 제압할 수 있는 작전을 처음 해보자고 (계획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희 부대원들은 평시에도 비상대기를 하고 있고, 비상이 걸리면 고유한 장비와 총을 착용하고 나가게 돼 있다"며 "저격탄은 가져가지 않았다"면서 실탄도 부대원에게 전달하지 않고 별도로 보관하고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대원들에게 국회의사당으로 출동하라고 지시한 것이 본인이라며 부대원들에 대한 비판과 비난을 거둬달라고 요청했다. 김 단장은 "국회의사당에 난입한 197명의 현장 지휘관도 저다. 헬기를 타고 가장 먼저 국회에 도착한 것도 저이고 건물을 봉쇄하라고 지시한 나"라며 "후문과 정문에서 몸싸움을 지시한 것도 저이고 창문을 깨고 건물 안으로 들어가라고 지시한 것도 저다. 건물 내에서 두 차례에 걸쳐 진입 시도를 지시한 것도 저"라고 했다.
김 단장은 "이처럼 모든 책임은 저에게 있다. 다시 한 번 간곡히 부탁드린다. 부대원들은 이용당한 피해자"라며 "오직 국가와 국민을 위해 청춘을 바치고 있는 대한민국과 군과 평화를 사랑하는 여러분들의 아들과 딸이다. 미워하십시오. 많이 원망하십시오. 하지만 절대 707부대와 부대원들을 버리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cuba20@tf.co.kr